대책위 2차모임 뒤섞인 돈은 뭐고 합계 왜 틀리나
하세종 뉴욕한인상록회 고문, 박무남 뉴욕문화진흥회 고문, 문일한 뉴욕지역한인연합회 고문, 박병춘 미 동부 충청 총연합회 이사장 등으로 구성된 ‘쓰나미 구호성금 진상·대책위’는 12일 제2차 모임을 갖고 ‘쓰나미 구호성금 늑장 지급’과 관련해 AM1660 라디오코리아(사장 권영대)에 전달할 요구 및 제안사항을 논의하고 필요하다면 대대적인 시위와 함께 법적 해결 방안도 검토하겠다는 강경입장을 밝혔다.
이날부로 진상·대책위에 동참한 김요현 ‘뉴욕맨해튼한인회’ 회장을 비롯한 위원들은 “한인사회에서 모금한 쓰나미 기금이 별도 구호금 명목 은행구좌에 입금돼 있다”던 라디오코리아의 주장과는 달리 권영대 사장이 ‘회장 또는 최고경영책임자’(Chairman or Chief Executive Officer)로 등록한 영리 회사 ‘에이 엠 코리아 라디오 뉴욕사’(AM Korea Radio-NY, Inc) 이름으로 조흥은행에 개인회사 체킹 구좌(Business Checking Account)에 입금돼 있으며 입금돼 있는 소위 ‘쓰나미 성금’은 출처를 밝히지 않은 돈 또는 성금과 함께 섞여 있다는 사실<관련기사 A3면>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대책위는 이 문제를 한인사회에 투명하게 밝히기 위해 라디오코리아측에 대책위가 선정한 공인회계사와 법률전문가의 ▲쓰나미 구호성금 관련 기록 감사 및 공증 ▲‘뉴욕한인 쓰나미 성금위원회’ 회의록을 비롯한 관련 기록 검토 ▲한인사회 구호성금 모금에 대한 법적 지위 관련 서류 검토 등 요구사항을 서면으로 공식 요청키로 했다.대책위는 또 라디오코리아가 하루속히 ▲한인사회의 의견을 수렴한 후 쓰나미 구호성금을 처리
할 것 ▲긴급 구호 명목으로 성금을 기부한 한인들이 원할 경우 성금을 되돌려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할 것 ▲카트리나 성금도 문제가 되지 않도록 뚜렷한 계획을 한인사회에 발표할 것 ▲긴급 구호금을 8개월이 넘도록 집행하지 않은 것에 대해 한인사회에 사과하고 이러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는 방안을 제시할 것 등을 촉구키로 했다.
이와관련 하세종 위원은 “주말에 내가 접수한 불평만도 무려 30여건이 넘는다. 많은 기부자들은 긴급구호 목적으로 성금을 냈는데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아직도 갖고 있다는 사실에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고 또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며 “한인들의 뜻이 반영된 권고 및 요구사항이 무시될 경우 시위 또는 법적 해결책도 검토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문일한 위원은 “라디오코리아는 한인사회의 기금을 거둬 하루속히 전달해주는 역할만 주어진 것이지 돈을 언제,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권한이 없다. 그런데 이렇게 큰 일을 저질러 놓고도 소위 ‘뉴욕한인 쓰나미 성금위원회’를 내세워 사과는 커녕, 방송을 통해 변명, 타 언론사 흠집내기에 급급하고 있다”며 “회계, 법률 전문가들도 아닌 ‘성금위원’들이 특별구좌도 아니고 한 개인의 개인회사 영업구좌에 한인사회 성금이 입금됐음에도 불구하고 무엇을 믿고 ‘성금의 투명성을 100% 인정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는지 도저히 이해가 안간다. 솔직히 문제가 이렇게 된 것은 ‘성금위원회’에도 큰 책임이 있기에 사실 그들도 진상규명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요현 위원도 “진상이 확실하게 규명돼 다시는 이러한 일이 한인사회에서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유여야를 막론하고 긴급구호 기금이 아직도 집행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해서 라디오코리아는 즉각 사과하고 더 이상 납득안가는 해명과 비방으로 한인사회를 분열시키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위원들은 또 이번 사태에 대한 한인들의 의견과 해결책 제안을 ‘뉴욕맨해튼한인회’ 사무실(The Korean-American Association of Manhattan, 830 6th Ave. #4th Fl. New York, NY 10001)에서 전화(212-679-9889), 팩스(212-679-0530), 편지 등을 통해 접수키로 하고 그 내용을 수시로 언론에 ‘한인사회 요구 사항 및 제안’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또 라디오코리아의 반응에 따라 성명서 발표, 범 동포 의견 수렴, 가두시위, 법적 조치 등 추가 활동 계획을 단계적으로 조율, 집행해 나갈 방침이다.
대책위 활동에 대한 자세한 문의; 하세종(646-732-1654), 박병춘(516-428-9927), 문일한 · 김요현(212-679-9889).
<신용일 기자> yishin@koreatimes.com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