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이 시리즈를 시작할 때 재산증식의 요체는 돈을 버는 것 못지 않게 번 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달렸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재산증식은 말처럼 쉽게 성취되지는 않는다. 계획 없는 생활, 무절제한 지출, 부적절한 투자 및 보험, 얕은 생활경제 지식 등 장애요인들을 극복해야한다. 이들 걸림돌을 극복하는 요령을 알아보자.
▲재산 증식 계획을 미루지 말자.
특히 노후 대책 계획은 빠를수록 좋다. 젊고 경제적 책임이 많지 않을 때일수록 쉽게 시작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지금은 경제적 여유가 없다거나 생각 해봐야겠다는 등 이유를 들어 좋은 기회를 놓친다.
▲과소비를 하지 말자.
필요한 것(Need)과 원하는 것(Nice to have)은 큰 차이가 있다. 새 옷, 호화 가구, 더 큰 자동차 등이 꼭 필요한 것인지, 아니면 그냥 갖고 싶은 것인지를 먼저 가늠해야 한다. 필요하지 않거나, 경제 능력에 맞지 않는 물품을 충동적으로 구입해선 안된다. 특히 비싼 이자를 내며 크레딧카드를 남용하는 과소비는 피해야 한다.
▲사회 보장(Social Security)이 아닌 자기 보장(Self Security)을 추구하자.
이미 확보된 소셜 시큐리티(SS) 만으로는 은퇴 후 생활보장이 안 된다. 2010년 이후에는 SS 지급이 어렵고 2030년경에는 SS 제도의 존립 자체가 의문시된다. IRA (개인 은퇴 구좌)를 이용하여 본인이 필요한 은퇴연금을 스스로 준비하자.
▲복리이자 계산을 과소 평가하지 말자.
매일 1달러씩 연 평균 8% 이자를 받고 30년간 투자하면 45,728달러란 목돈을 마련 할 수 있다. 매일 2달러면 9만달러가 넘는다. 매일 습관적으로 사 마시는 커피 한 잔 값에 불과하다. 거기다 사먹지 않아도 되는 점심 값(5달러)까지 보태서 투자하면 30만달러가 넘는 액수가 된다.
▲우선 순위 없는 무분별한 지출을 삼가자.
많은 사람들이 새 옷, 새 차, 새 가구 등의 구입에 많은 관심과 시간을 할애하지만 세제 혜택을 받으며 본인 노후를 위한 은퇴 구좌(IRA, SEP-IRA, 401K, SIMPLE-IRA)에는 무관심한 경향이다. 지금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는 것 보다 노후 대책을 위해 투자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인플레이션을 과소 평가하지 말자.
지금 100달러짜리 물건은 30년 후에는 324달러를 줘야 살 수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비책이 지금 마련돼 있어야 한다.
▲합리성 있는 위험(Risk)을 피하면 위험을 택하는 것 보다 더 위험 할 수가 있다.
특히 노후 은퇴자금을 안전하게 마련한답시고 연평균 3%로 매년 2천달러씩 30년간 저축하면 절대로 충분한 은퇴자금을 마련할 수 없다. 연 평균 4%의 인플레이션을 적용하면 실 가치는 원금보다도 적어진다. 그러나 다소 등락은 있지만 합리성 있게 다변화된 뮤추얼 펀드를 통해 30~40년 투자하면 연 평균 10-12%의 수익을 기대 할 수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