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범 10년來 최고치… 강력범죄도 ‘동반상승’
총 범죄 발생건수가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지난해에는 경제불황 등의 영향으로 사기ㆍ배임 등 경제범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범죄의 흉포화.지능화 현상 속에 강도 범죄도 대폭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경제범죄 ‘상승곡선’ = 경찰청이 최근 발간한 `2004 경찰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사기 범죄는 모두 23만1천951건이 발생, 전년도 18만3천327건에 비해 무려 26.5%의 증가세를 보이며 최근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배임 역시 4천416건으로 전년(3천386건)에 비해 30.4%나 늘었고, 횡령 범죄도 1만9천600건에서 2만2천286건으로 13.7% 증가했다.
그러나 이 두 범죄 발생건수는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직후인 1998∼1999년보다는 적었다.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 범죄도 1만9천582건으로 2002년(1만4천347건)보다 무려 36.5%나 증가했고, 절도도 18만7천352건으로 전년(17만8천457건) 대비 5.0% 늘며 근10년내 가장 많았다.
이처럼 재산범죄가 큰 폭으로 늘면서 전체 범죄 발생 건수도 증가, 지난해 189만4천762건에 달했다.
이는 전년(183만3천271건) 대비 약 3.4% 증가한 수치로 최근 10년간 전체 범죄발생건수는 94년 130만9천326건에서 꾸준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 강력범죄도 ‘동반상승’ = 강도 사건의 경우 5천906건에서 7천292건으로 23.5% 늘어난 것을 비롯, 살인 4.3%(957→998건), 폭력 3.9%(28만3천930→29만4천893건)증가했다. 인터넷의 확산으로 사이버 범죄 증가율도 14%나 됐다.
범죄 동기별로는 부주의 등 실수가 21.8%로 가장 많았고, 우발적 충동이 17.4%,이욕(利慾) 11.3%, 사행심 0.9%, 호기심 0.7%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교통사고 사범 등 과실범을 빼면 역시 개인적 욕심 및 우발성 범죄가 가장 큰 범죄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경찰은 밝혔다.
시ㆍ도별로는 서울에서 38만2천833건(20.2%)이 발생해 가장 많았고, 이어 경기(18.5%)ㆍ부산(7.1%)ㆍ경남(6.7%)ㆍ인천(5.6%) 순으로 나타났다.
요일별로는 수요일(20.5%)ㆍ월요일(14.5%)ㆍ화요일(12.5%)ㆍ금요일(10.9%)ㆍ목요일(9.9%)ㆍ토요일(8.7%)ㆍ일요일(8.3%) 순이었다.
또 지난해 검거된 범죄자의 63.9%는 재범자로, 이중 19.7%는 같은 범죄를 반복해 저질렀다가 붙잡혔다.
경찰은 구조조정의 상시화, 신용불량자 증가, 실업률 상승 등 경제난의 영향으로 지난해 경제범죄가 전반적으로 늘었다며 특히 제도 금융권을 이용하지 못하는 신용불량자 증가 등으로 사기 범죄가 크게 증가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