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과 및 델리 좌대 규정 강화 법안(Intro 699) 상정에서 철회까지
▲8월17일 존 리우 시의원, 시의회 교통분과위원회에 좌대 규정 강화 법안(Intro 699) 상정, 통과. 이어 같은 날 시의회 전체 회의에서 법안 통과-본보 8월18일자 A1면 보도.
▲“한인업종 규제성 법안 잇따르는데 한인단체들 손놓고 뒷짐만”-본보(이하 ‘본보’는 생략) 8월19일자 A1면 머리기사로 처음 문제 제기.
▲한인 관련 단체, 좌대 규정 강화 법안에 대응 시작-8월20일자 A1면.
▲뉴욕한인식품협회, 22일 리우 의원 만나 법안의 불합리성에 항의-8월23일자 A1면.
▲뉴욕한인청과협회, 23일 리우 의원 만나 법안 반대 입장 전달-8월24일자 C3면.
▲청과, 식품협회, 소기업센터 법안 공동 대응키로 합의-8월25일자 A1면.
▲히스패닉 전국 슈퍼마켓 협회(NSA), 25일 긴급 모임 갖고 법안 무효화에 동참 결정-8월26일자 A1면.
▲중국인 미국 상공회의소, 중국인 슈퍼마켓 대표 등도 법안 무효화에 참여 합의-8월30일자 A1면.
▲한인 단체 및 주류, 중국계 단체들 30일 리우 의원 사무실 앞에서 대형 항의 시위-8월31일자 A1면.
▲청과, 식품협회, 소기업센터 31일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의 거부권 얻어 내기 위해 제 1차 ‘포지션 페이퍼’ 전달-9월1일자 A1면.
▲청과, 식품협회, 소기업센터 9월1일 중국인 상공회의소 관계자들과 이스트 뷔페에서 만나 대책회의-9월2일자 A3면.
▲소기업센터, 식품, 청과협회 관계자 14일 산수갑산에서 긴급 회동, 15일 제2차 포지션 페이퍼를 전달키로 합의-9월15일자 A4면.
▲15일 블룸버그 시장 법안에 거부권 행사 시사-9월16일자 A1면.
▲16일 블룸버그 시장 거부권 행사를 기포드 밀러 시의장에게 전달-9월17일자 A1면.
▲19일 소기업센터, 법안 실시되면 업소 400여개 면허 취소된다는 보고서 발표-9월20일자 A1
면.
▲23일 청과, 식품협회, 소기업센터와 청과, 델리 업주 신정식당에서 회동, ‘51 코디네이터팀’
구성해 리우 의원과 담판키로 결정-9월24일자 A1면.
▲26일 리우 의원과 협상 벌였으나 결렬-9월27일자 A3면.
▲본보 9월29일자 A1면에서 “10월3일 교통분과위 투표 앞두고 한인들이 참가해야” 지적.
▲법안 10월3일 교통분과위 재통과-10월4일자 A1면.
▲본보 10월8일자 A1면에서 “한인들 10월11일 열리는 전체 투표에 앞서 진행될 항의 시위에
참여하자” 촉구 기사 게재.
▲11일 한인들의 대거 항의 시위 및 일부 의원들의 입장 선회에 불리함 느낀 리우 의원 전체
투표 연기 요청. 아울러 교통국 직원 감시하는 태스크포스 구성 법안(Intro 731) 처음 상정-10월12일자 A1면.
▲17일 시의회 교통분과위 Intro 731 관련 의견 수렴 공청회 개최. 이날 소기업센터, 청과, 식품협회 관계자 참석, 반대의견 제시-10월18일자 A1면.
▲20일 맨하탄 브로드웨이 델리 운영 한인 업주들 반대 서명 가두 캠페인-10월21일자 A3면
▲22일 한인 델리 업주 요청으로 뉴욕한인회 비롯 한인 단체장들 맨하탄 74가에서 70여장의 반대서명 받음-10월24일자 A3면
▲23일 뉴욕한인회, 중부퀸즈한인회 임원들과 한인 델리 업주들 플러싱 한양, 한아름 마트 앞에서 27일로 연기된 전체 회의 겨냥 한인 상대 서명운동-10월24일자 A3면
▲24일 관련 3개 단체 및 뉴욕한인회 27일 열리는 시위 한인 참가 요청-10월25일자 A1면.
▲10월25일 리우 시의원 긴급 기자회견서 법안 철회 밝힘-10월26일자 A1면.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