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워싱턴 일원을 휩쓸고 지나간 폭풍으로 정전 등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을 당시 ‘911 비상 전화 서비스’가 불통된데 대한 당국의 조사가 확대되고 있다.
사태 발생 초기에는 연방 당국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버라이존의 비상 전화 운영 시스템에 대해 조사를 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였으나 점차 관심을 보이는 정부 기관이 늘고 있으며 조직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폭풍 피해 발생 때 버라이존이 운영하고 있는 비상 전화 서비스가 단절돼 불안 속에 보낸 주민은 워싱턴 일원 각지에서 1백만 명이 넘었다. 전화 불통 사태는 정전, 가로수와 도로 파손 등 폭풍 ‘드레초’가 낸 피해에 대처하는데 가장 중요한 시기인 6월 30일과 7월 1일에 집중됐었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할 때 해당 정부 기관들은 비상 전화 서비스 단절 사태는 그냥 넘길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상 관리 시스템이 마비되고 전화 불통 사태가 대규모로 발생한 것은 버라이존의 시스템 기술 관리의 실패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연방 통신위원회와 전화, 전기 등에 대한 감독권을 행사하고 있는 버지니아 주정부의 기업규제위원회 등이 현재 앞장서 비상 전화 불통 사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지방자치단체 연합 기관인 정부위원회(The Council of Governments, COG)도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폴스 처치의 데이빗 스나이더 COG 위원은 이번 사태는 단지 비상 시스템 관리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그 이외의 사항도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스나이더 위원은 “버라이존의 비상 전화 시스템 불통으로 수도 관리 시스템에도 마비가 왔다”며 “상수도 펌프장과 물 저장 탱크까지 주시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폴스 처치의 경우 펌프장이 정전되는 바람에 상당수의 주민들이 여러 날 동안 물을 끓여 사용하는 불편을 겪었다.
버라이존 측은 또 비상 전화 불통 시 주민, 지방 정부 당국, 언론 등과의 의사소통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비난도 받고 있다. 버라이존 관계자는 의사소통 부진 문제는 앞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비상 사태 때 해당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해주지 못했다”며 향후에는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할 시 반드시 고객들에게 이를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안성중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