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연구개발(R&D)의 비효율성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핵심은 예산 대비 효율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예산은 세계 1위지만 사업화 부문은 형편없을 정도다. 이를 고치기 위해 다양한 원인과 처방이 나오고 있고 미래창조과학부는 관계 부처와 협의해 조만간 ‘R&D 혁신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연구자들의 ‘그들만의 리그’를 개선하는 것은 물론 평가 시스템 개편 등이 핵심 방안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국가 R&D 비효율성 이슈는 역대 정부에서 수차례 제기됐던 것. 그때마다 정부가 앞장서 대책을 내놓았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상태다.
그렇다면 이번에 나올 ‘R&D 혁신방안’은 성공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또 한 번의 통과의례가 되지 않을까 싶다. R&D 비효율성의 숨은 주범 가운데 하나가 ‘정부’인데 이 부문에서 제대로 된 개선안이 나오기를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정부가 R&D 비효율성에 얼마나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을까. 한 예로 민간 기업과 달리 국가 R&D에서 중요한 것은 연속성인데 그것을 어렵게 하는 것이 바로 정부다.
불과 몇 해 전으로 시계를 돌려봐도 드러난다. MB 정부 때 유행처럼 번졌던 것이 바로 녹색성장에 기반 한 이른바 ‘그린 R&D’였다. 지난 2012년 정부의 R&D 지출에서 녹색 R&D가 차지하는 비중은 16%로 2007년(12.3%)보다 높아졌다. 출연연 조직도 그린 R&D로 바꿨고 모든 연구의 초점이 이곳에 맞춰졌다.
‘그린 R&D’만 있었던 국가 연구개발은 이제 ‘창조 R&D’로 바뀌었다. 수많은 그린 R&D 프로젝트가 어떻게 됐는지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 아마도 그린 R&D의 대부분은 예산이 줄고 사업이 중단됐거나 자취를 감추지 않았을까 싶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R&D 정책의 핵심기조가 바뀌니 이런 상황에서 프로젝트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을까.
쉼 없이 바뀌는 R&D 컨트롤타워 조직도 정부 발 R&D 비효율성의 원인이다. 굳이 사례를 안 들어도 노무현 정부부터 현 정부에 이르기까지 컨트롤타워 조직은 변신에 변신을 해왔다. 현재 R&D 컨트롤타워인 미래부 역시 차기 정권에서 어떻게 될지 모른다. 컨트롤타워 부재는 과거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나뉘고 쪼개지고 합쳐지다 보니 일선 출연연에서는 시어머니를 여럿 모시고 있다. 이합집산 과정에서 부처별로 R&D 권한이 조금씩 남아 있어서다. 미국·독일·프랑스 등에도 하나밖에 없는 국가 R&D 평가기관이 우리나라에는 13개 부처에 17개나 되는 것이 좋은 예다. 출연연은 눈치 볼 곳이 한두 곳이 아니다. 연구비 관리 규정만 무려 372개나 된다.
정부가 올해 초 3D 프린팅 산업 발전방안을 내놓았다. 그런데 주도권을 놓고 미래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주관은 미래부지만 산업부 역시 힘을 쓸 수 있는 파워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확실한 컨트롤타워 구축은 다른 부처 입장에서는 자기 밥그릇을 빼앗기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뿐만이 아니다. 역대 정부를 거치면서 R&D 정책을 입안하는 관료들이 전문 관료에서 일반 행정 관료로 대거 바뀌었다.
전문 관료들은 두터운 일반 관료들 사이에서 하나둘 옷을 벗었다. 심지어 전문성이 요구되는 출연연 원장으로 대선 때 도와준 인물을 임명한 사례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일선 현장 과학자들의 ‘과학자로서의 긍지’는 무참히 무너졌다. 출연연 원장도 부처 사무관을 대할 때 ‘대단한 상전’으로 모셔야 한다.
국가 R&D의 효율성을 높여야 하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출연연도 바뀌어야 하고, 연구원들도 그렇다. 여기에 추가될 것이 있다. R&D 일선 현장을 황폐하게 만들고 있는 장본인 가운데 하나가 정부라는 점이다. 반성하고 크게 바뀌어야 할 것은 정부인데 이런 사실을 스스로 알면서도 애써 감추려 한다. 그러면 결과는 뻔하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