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국 정부 초장기 채권 발행… 올 들어 690억달러 ‘역대 최대’
▶ 버크셔·코카콜라 등 미 기업, 싼 돈 찾아 유로본드 발행 “과열되면 위기 부를 것” 우려
유럽중앙은행(ECB)은 유럽연합(EU)의 경제활성화를 위해 1조1,000억유로에 달하는 채권 매입을 통한 양적완화에 나섰다.
⊙사상 최저 수준 금리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키 위해 대대적으로 자금을 풀면서 전 세계가 ‘칩머니’(cheap money)에 취해 대출파티를 벌이고있다. 기업은 물론 각국 정부까지 나서 저렴한 조달비용과 장기 차입조건을 찾아 국경을 넘나들며 공격적으로 돈을 끌어당기고 있는 것.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정부와 기업들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자금조달 금리에 편승해 한 세대 내에 갚지 못할 초장기 채권을 전례 없는 규모로 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투자정보 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올들어 30년 만기 이상 채권 발행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690억달러로 역대 최대치에 달했다. 심지어 영국의 경우 10일 53년짜리 초장기 국채 발행을 재개했음에도 입찰에 수요가 몰리면서 연 2.62%의 낮은 금리로 낙찰됐다.
일반 장기채권 역시 시장에서 각광 받고 있다. 특히 신용도가 높은 선진국 국채는 안전자산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재무성은 지난달 17일 실시한 국채입찰에서 입찰자들의 경쟁이 3.51대1에 달할 정도로 흥행하자 오는 20일 1조2,000억엔 규모의 20년 만기 국채를 추가 발행하기로 했다.
투자자들이 이처럼 살아생전 상환만기를 맞기도 힘든 초장기 채권에 관심을 갖는 것은 마이너스나 제로금리 수준인 단기 채권보다 조금이나마 높은 수익률(금리)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FT는 진단했다. 차입자들 역시 “지금처럼 극히 낮은 대출금리 환경에서 채권 만기를 늘리려 하고 있다"고 투자은행 UBS의 전략가인 조아킹 타이버그는 분석했다.
민간 부문에서도 초저금리 채권사냥 붐이 번지고 있다. 특히 유럽중앙은행(ECB)이 1조1,000억유로에 달하는 채권 매입을 개시해 금리 하락추세가 뚜렷한 유럽에서 이 같은 흐름은 두드러진다. 워런 버핏이 운용하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회사 역사상 처음으로 유로본드(유로화 표시 국외발행 채권)를 발행하기로 했다. 기업들의 유로본드 평균 수익률이 최근 연 1%를 밑돌 정도로 낮아지자 칩머니 확보에 나선 것이다. 앞서 코카콜라도 유로본드를 발행했으며 켈로그와 월풀도 이 대열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올해 들어 유로본드 발행시장의 14.5%를 미국 기업들이 차지해 2007년 이후 비중이 최대에 이르렀다고 블룸버그는 소개했다.
중국 기업들 역시 저금리 자금 확보에 뛰어들고 있다. 월스트릿저널(WSJ)은 과거에는 주로 홍콩 은행으로부터 달러화 대출을 받았던 중국기업들이 최근 홍콩시장을 떠나 중국 본토 은행 대출로 갈아타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인민은행이 경기를 살리려고 본토 은행들에 대해 기준금리 인하 및 지급준비율 완화 등의 조치를 취하면서 본토와 홍콩의 대출금리 격차가 줄어든데다 최근 중국경기부진으로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화 대출의 이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올 1월 중국본토의 신규 여신 규모는 전월(6,970억위안)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1조4,700억위안에 달해 약 5년6개월 만의 최대 수준에 달했다.
이 같은 저금리 혜택이 정부와 기업의 재정 및 투자 여력을 높인다면 경제성장에도 득이지만 경제주체들이 칩머니에 중독돼 채권시장이 상환능력을 넘어설 정도로 과열되면 오히려 경제위기를 부를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영국 경제주간지 머니위크는 11일 “채권 거품이 터지면 증시도 함께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2008년도에도 부채 때문에 신용위기가 왔다는 점을 되짚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