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욕·샤워할 때 빼야
▶ 렌즈 용기는 매일 소독
평소 렌즈를 제대로 관리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콘택트렌즈 관리]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비사용자에 비해 눈병에 걸릴 위험이 10배나 높다. 또한 각막염의 경우 30%나 오염된 렌즈가 원인이다.
콘택트렌즈는 평소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지난달 발표된 CDC(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4,090만명으로 집계됐으며, 설문조사 결과 렌즈 사용자의 99%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나쁜 습관과 그로 인해 3분의 1 정도는 안구 통증과 증상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들이 자주 하는 잘못된 습관들로는 잠을 자면서 렌즈를 착용하거나, 렌즈 보관용기를 권장기간보다 더 오래 사용하거나, 한번 사용했던 렌즈 보존액을 버리지않고 재사용하거나 이미 사용했던 용액에 새 용액을 채우거나, 목욕이나 수영할 때 렌즈 착용 등이 있다.
수영이나 목욕 또는 샤워를 할 때는 렌즈를 착용하지 말아야 한다. 또 잠을 자기 전에도 꼭 렌즈는 빼둬야한다. 렌즈 용기 위생관리도 철저하게 해야 한다.
깨끗한 물로 샤워나 목욕을 한다해도 혹시 있을 수 있는 박테리아나 곰팡이균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미국 안과학회에서는 수돗물에 렌즈를 노출시키지 말 것을 조언하고 있다. 일반 수돗물로 렌즈를 세척하거나 혹은 보존액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가시아메바(Acanthamoeba)같은 미생물이 일반 수돗물에 살아있을 수 있기 때문. 또한 자면서 렌즈를 착용하면 렌즈나 렌즈 케이스로 인한 오염된 균 때문에 각막에 궤양을 일으킬 위험도 크다. 렌즈 용기는 매일 전용 세정액으로 세척 소독하고, 3개월마다 꼭 새것으로 교환해 준다. 2주간 사용하는 렌즈를 2~6주까지 사용하거나 일회용 렌즈를 2~3일간 더 사용하는 행위는 감염질환 위험을 높인다.
[CDC에서 조언하는 콘택트 렌즈 올바른 사용 및 관리법]
①렌즈를 만지기 전 비누와 물로 손을 닦고, 깨끗한 수건으로 손을 말린 후 렌즈를 관리한다.
②의사 처방 외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잠을 자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샤워할 때 렌즈를 착용하지 않는다. 목욕탕이나 수영을 할 때 콘택트렌즈를 빼 둔다.
④렌즈 전용 소독액으로 렌즈를 닦는다. 일반 수돗물이나 침으로 렌즈를 닦지 않는다.
⑤수돗물을 보관용액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⑥렌즈는 정해진 기간만 사용하고 새 것으로 교환한다.
⑦렌즈 용기도 물이 아닌 렌즈소독액으로 세척하고, 깨끗한 티슈로 물기를 제거한다. 또 거꾸로 놓아두지 않는다.
⑧렌즈 용기는 3개월마다 교환한다.
⑨렌즈 보존액을 재사용하지 않는다. 새 용액과 이미 사용한 용액을 섞어서 사용하지 않는다.
⑩의사에게 조언 받은 렌즈 용액만 사용한다.
⑪매년 안과 검진을 받는다.
⑫눈에 통증이나 불편함, 충혈, 시력 이상 등 증상이 있다면 렌즈를 제거하고 즉시 안과 전문의를 찾는다.
⑬예비용 안경을 항상 지참하고 다닌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