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최대 할인 매장인 월마트의 주가 폭락 여파 등으로 하락했다.
14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7.14포인트(0.92%) 하락한 16,924.75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9.45포인트(0.47%) 내린 1,994.2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3.76포인트(0.29%) 하락한 4,782.85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잠시 반등했다가 하락세로 거래를 마쳤다.
월마트의 주가가 폭락세를 보인 데다 미국 경제가 일부 달러 강세에 따른 타격을 받았다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경기 평가도 지수에 부담이 됐다.
다우지수는 주요 구성 종목 중 하나인 월마트 폭락으로 주요 지지선인 17,000선을 하회했다.
월마트는 주가가 10% 급락해 1988년 이후 가장 큰 일간 낙폭을 기록했다.
회사는 미국내 사업과 전자상거래 사업을 키우기 위해 앞으로 3년간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2017 회계연도 주당 순이익이 6~12%가량 준다고 전망했다.
RBC 글로벌자산운용의 라이언 라슨 주식 트레이딩 헤드는 "월마트와 같은 주식이 10% 가까이 떨어지는 것은 드문 일이다"며 시장이 상당 부분 월마트 주가 급락에 따른 타격을 받았다고 진단했다.
항공기 전문업체인 보잉도 대형 항공기의 수요에 대한 우려로 4.3%가량 급락세를 나타내며 지수 하락에 일조했다.
Fed의 경기 평가보고서인 베이지북도 증시에 일부 부담을 줬다.
미국 경제는 전반적으로 완만한 속도의 확장세를 이어갔지만, 일부 지역이 낮은 유가와 달러 강세에 따른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혼조적이었다.
지난 9월 미국 소매업체들의 판매는 소폭 증가해 고용 성장 둔화 등에도 소비지출이 경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 상무부는 9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1%(계절 조정치)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에 부합한 것이다.
반면, 9월 미국의 생산자물가는 휘발유 가격 하락과 달러 강세로 예상치를 웃돈 하락세를 보였다.
미 노동부는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5%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 0.2% 하락을 상회한 것이며 지난 1월 이후 최대 하락률을 보인 것이다.
지난 8월 미국의 기업재고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0.1% 늘어났을 것으로 예측했다.
대형 금융기업의 실적은 긍정적이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지난 3분기 순이익이 45억1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2억3천200만달러 순손실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같은 기간 주당순이익(EPS)은 37센트로, 톰슨로이터가 집계한 전망치 33센트를 웃돌았다. 주가는 0.77% 상승했다.
자산기준으로 미국 4위 은행인 웰스파고도 3분기 주당 순익이 1.05달러를 나타내 전년 동기의 1.02달러와 톰슨로이터 집계치 1.04달러를 웃돌았다. 다만, 주가는 실적 호조에도 0.7%가량 내렸다.
유럽 주요 증시는 중국 경제지표 악화 우려로 하락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보다 1.15% 하락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1.17%,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도 0.74% 내림세를 나타냈다.
중국의 상하이종합지수는 5일 연속 상승을 마감하고 전장대비 0.93% 떨어졌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 동기보다 1.6% 올라, 시장예상치 1.8% 상승을 밑돌았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5.9% 내려 43개월 연속 하락했다.
뉴욕유가는 미국의 주간 원유재고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져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2센트 낮아진 46.64달러에 마쳤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주와 소재주가 소폭 상승한 것 외에 전 업종이 내림세를 나타냈다.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일보다 2.04% 상승한 18.03을 기록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