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산 로하니, 경제계 이끌고 유럽·바티칸 등 방문
▶ 항공기 500대 구매계획… 서방과 경제협력 잰걸음

이란을 방문한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 주석이 23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서방의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 직후 가장 먼저 이란을 국빈방문한 시 주석은 양국의 경제협력 규모를 6,000억달러로 늘리기로 합의했다. [AP]
핵 프로그램 폐기로 서방의 경제 제재에서 벗어난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이 유럽 순방을 통해 서방과의 경제협력 재개에 나선다. 서방 기업들도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중동의 양대 축을 이루는 이란 시장 공략에 적극적이어서 제조·인프라 부문의 대규모 경협이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로하니 대통령은 25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이탈리아 로마를 방문하는 것을 시작으로 바티칸·프랑스 등을 순방한다. 이란 대통령의 유럽행은 지난 1999년 10월 모하마드 하타미 대통령의 프랑스 방문 후 17년여 만이다.
이번 로하니 대통령 순방의 키워드는 ‘경제협력’이다. 방문단도 이란 경제계 대표단을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방문지에서도 각국 수반을 제외하면 재계인사들이 대부분이다. 순방의 하이라이트는 유럽 최대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와의 항공기 구매계약이다. 아바스 아쿤디 이란 교통장관은 이날 테헤란에서 열린 항공 관련컨퍼런스에서 “로하니 대통령이 27일부터 시작되는 프랑스 파리 방문기간에 에어버스 114대를 구매하는 계약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란은 현재 500대가량(중장거리용 400대·단거리용 100대)의 항공기구매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쿤디 장관은“ 이란이 보유한 항공기 250기 가운데 운항 가능한 것이 150대에 불과해 항공기 교체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총 500대의구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란은 미 재무부가 보잉과의 계약을 허가하지 않았지만 보잉과의 구매협상도 염두에 두고 있다. 아스가르파크리흐 카샨 부장관은 로이터통신에 “보잉에서 100대 이상을 구매하는 데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유럽 항공사들도 이란 취항을 서두르고 있다. 몇몇 서방 항공사들이 이란과의 경제협력 재개시 운항수요가 늘 것을 대비해 취항 서비스 개시를 준비 중에 있으며 덴마크 에어라인과 에어프랑스, 브리티시 에어웨이 등이 후보로 꼽힌다. 현재 시리아 등 주변국들이 내전에 휩싸여 있는 점도 서방 항공사들이 이란 취항에 관심을 보이는 배경이다.
이란 취항이 허용될 경우 지금까지 중동을 우회하던 항공기들의 운항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이란도 이런 사정을 감안해 공항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특히 2억5,000만달러를 들여 항공관제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어서이 사업을 어느 기업이 따낼지도 관심이 쏠려 있다.
항공 분야뿐 아니라 이탈리아 에너지 업체 네니, 프랑스 자동차 업체 푸조와 르노도 이란 복귀를 희망하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이란은 또 유럽으로부터 약 500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물밑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에 대한 외국인직접투가는 2012년 7월 경제제재 돌입 이후 크게 감소해 2014년 이후에는 사실상 ‘0'에 가까운 상태다.
다만 이란의 경제재건이 순탄하게 이뤄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재정 수입의 절반을 차지하는 원유 수출액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통산 이란의 재정 수입에서 원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45%에 달했으나 최근에는 이 비중이 25%로 떨어지고 대신 세수 비중이 68%에 달했다.
정부의 구매력이 저하된 상태여서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돌아서지 않으면 정부 구매가 지속되기 어렵다는 얘기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차이나머니를 앞세운 대규모 경제협력으로 이란을 품으며 중동 지역에서 미국을 압박하고 있다.
중동 순방 마지막 일정으로 이란을 방문한 시 주석은 지난 23일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고 10년안에 양국의 교역 규모를 6,000억달러로 늘리기로 합의했다. 이는 지난2014년 중국과 이란의 교역 규모의 11배가 넘는 규모다.
국제사회의 이란에 대한 제재가 해제된 후 외국 정상으로는 처음 이란을 찾은 시 주석은 이번 방문에서 다양한 경제협력 선물을 안기며 중국의 중동 전략에 이란을 편입시키려 시도했다. 양국은 시 주석의 방문에 맞춰 경제·산업·문화·법률 등의 분야에서 앞으로 25년간 협력하는 내용의 17개 협약을 맺었다.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독점을 깨겠다는 중국의 의지도 이번 시 주석의중요한 전략 중 하나로 보인다. 시 주석은 “일부 강대국은 독점의 규칙을 추구하려 한다"며 “그렇지만 신흥경제권의 발전은 그들의 독점력을 약하게 했다"고 말해 이란의 지지를 얻어냈다.
중국의 이란 선점 전략에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왕원 인민대 충양연구원장은 “이란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기 직전인 만큼 시 주석의 방문이 주가폭등 전 저가매수와 같다"고 평가했다.
반면 주즈췬 미국 버크넬대교수는 “중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불화 등 지역분쟁을 해결하는 정직한 중재자 역할을 하지 못할것”이라고 주장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