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갬블 저택, 장인이 지은 주택(하)
▶ 평면도 여러개 사각형이 90도 격자에 맞춰 자유롭게 펼쳐진 모습
![[LA 유명 건축물 시리즈] 집안 곳곳에 건축가 그린 형제 장인정신 느껴져 [LA 유명 건축물 시리즈] 집안 곳곳에 건축가 그린 형제 장인정신 느껴져](http://image.koreatimes.com/article/2016/04/06/20160406105754571.jpg)
1층 바닥을 보면 그 방이 주인을 위 한 공간인지, 서비스 공간인지 알 수 있다. 주인 공간은 헤링본 패턴으로 되 어 있고 서비스 공간은 일반 벽돌 패턴 (러닝본드 패턴)으로 되어 있다.
갬블 저택은 살림채와 차고 2개의 건물로 구성된다. 패사데나 도심에서 올 때, 차고보다는 본건물인 살림채가 먼저 보이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차고는 살림채 뒤에 물러나 보이게 배치했다. 또한 살림채가놓인 자리가 살짝 언덕이어서 눈에 잘 뜨이기도 한다. 자연스레 건물의 배치가 정해졌다.
갬블 저택이라고 하면 살림채를 가리킨다. 차고는 신경을 덜 썼다. 이제는 살림채를 어떻게 설계했는지 살펴본다.
처음 갬블 저택을 보자 스위스의 샬레(chalet)라는 전통 가옥이 연상되었다. 갬블 형제가 지은 주택은 모두이런 스타일이다. 근처에 그들이 지은 9채의 주택이 있다. 그 덕에 어느 순간부터인지 이 동네를 리틀 스위스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샬레는 알프스산지에 있어서 추운 겨울을 지내기 위해 외기에 면한 표면적을 최소화해야 했다. 그래서 평면이 단순한 직사각형에 가깝다.
하지만 여기 갬블 저택은 전체적인 외관만 비슷하다. 평면은 오히려 일본의 주택과 비슷하다. 여러 개의 사각형이 90도 격자에 맞춰 자유롭게 펼쳐진 모습이다. 갬블 저택의 1층 평면을 보면 기능에 따라 구역을 나눈 것을 볼 수 있다. 남쪽에는 일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비스 공간을, 북쪽에는 주인이 쓰는 공간을 배치했다.
바닥 패턴을 봐도 주인 공간과 서비스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주인 공간에는 헤링본(herringbone) 패턴을, 나머지 공간은 일반 러닝본드(running bond) 패턴으로 바닥을 꾸몄다.
그리고 두 공간 사이에 계단과 복도를 배치함으로써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고 이해할 수도 있다. 계단과복도 공간은 무더운 여름에 문을 열어 맞바람을 치게 하여 더위를 해소할 수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마치 우리 전통 가옥에서 대청마루의 앞뒷문을 열면 맞바람이 치도록 한 것과 같은 효과다.
단면도를 보면 수직적으로도 구역을 나누어 배치한 것을 볼 수 있다. 1층은 가족의 생활 중에서도 공적인공간이다. 작은 사무실인 ‘덴’ (den)과 거실 등에서 손님과 만나기도 하고 간단한 업무를 볼 수도 있다. 한옥으로 치면, 사랑채에 해당한다.
반면에 2~3층은 가족만을 위한 공간이다. 2층에는 총 6개의 침실이 있다. 주 침실은 북서쪽에 가장 넓은 공간을 할애했다. 조용하고 전망도 좋다. 주 침실을 포함해서 침실 4개는 가족용이고, 2개는 일하는 사람들이썼던 것으로 보인다. 주인 부부에게는 아들 3명이 있었다. 일하는 사람의 침실은 주 계단에서 올라 왔을 때벽에 가려져 있다. 3층은 가족실로 당구대를 갖다 놓았다. 3층이 가장 높은 곳이어서 전망도 제일 좋다. 한옥의 안채에 해당한다. 참고로 손님 침실은 1층 현관 옆에 있다. 입면을 보자. 건축가 그린 형제가보자르 스타일의 건축을 추구했다면 입구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했을 것이다. 그런데 정면에서 보면좌우가 다른 것이 보인다. 좌측(남쪽)은 덩어리가 눈에 띄지만 우측(북쪽)은 기둥만 있고 덩어리가 없이 비어있다. 동양화에서 보이는 여백의 미를 여기서 보여 준다. 건축가는 일본 예술과 예술 공예 운동에 상당히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느껴진다.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영국식 정원 운동(English Landscape Movement)과도맥을 같이 한다.
이제는 이 살림채의 동선(circulation)을 살펴보자. 주출입구는 동쪽에서 계단을 올라온 후 만나는 현관이다. 이 현관을 지나면 계단이 보이는 현관 홀이 있는데 이 홀에서 모든 공간으로 동선이 뻗어간다. 현관을 뿌리에서 올라온 기둥이라고 보면 마치이 동선을 나무로 이해 할 수 있을 듯하다. 하나의 입구는 보안상으로도유리하다. 서비스 출입구는 남쪽에 가려져 있다.
이 집에는 계단이 2개 존재한다. 하나는 현관 홀에서 바로 보여서 2층으로 어떻게 가는지 바로 보여준다.
주인 가족이 이용한다. 이 외에 또 하나의 계단이 있는데 이것은 눈에 띄지 않는다. 현관 홀에서 남쪽을 볼때 벽으로 막혀 있어서 처음 온 사람은 알 수가 없다. 이 벽 너머에 있다.
서비스 동선이다. 빨래, 청소 또는 그이외의 심부름하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계단이다. 이런 공간은 굳이 드러낼 필요가 없다.
집안 곳곳에 이 저택이 얼마나 정성을 들여 지었는지 알 수 있다. 곳곳에 동양화 느낌의 목판 부조를 벽에붙여 놓았다. 건축가 그린 형제의 작품이란 것을 알 수 있다. 기둥과 보가 만나는 곳의 디테일을 보면 일본목구조의 공포가 연상된다. 이 밖에도 계단 난간을 보면, 예술 공예 운동에 영향을 받아 쇠를 정교하게 가공했는데 아르누보와는 다른 그린 형제특유의 형태를 만들어냈다. 이들은 건축주에게 단순히 주택만 설계해 주는 것에 머물지 않고 가구를 비롯하여 가족 문양(family crest)까지도 제공했다고 한다. 건축주가 건축가의 설계를 아주 마음에 들어 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주택이 오래 전에 지어졌다고 해서 문화유산이 되는 것은 아니다. 단순한 기능을넘어 많은 의미와 상징 같은 것이 담겨 있다. 이 집이 미국을 대표하는 예술 공예 운동 주택으로 언급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갬블 저택 주소 4 Westmoreland Pl, Pasadena, CA 91103
<건축가 김태식>블로그 http://blog.naver.com/geocrow
<
건축가 김태식>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