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캠퍼스 2
▶ 둘레 1.5㎞ 펜타곤 건물 능가,1만3,000여명 임직원 이주
현재 애플은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의 본사로부터 약 5㎞ 떨어진 곳에 대규모 건설공사를 진행 중이다.
올해 말 완공 예정인 이 건물은 바로 애플의 신사옥 ‘애플 캠퍼스 2’(Apple Campus 2)이다. 우주선을 닮아 ‘더 스페이스십’ (the Spaceship)이라고도 불리는 신사옥은 애플의 국제 장악력을 상징하듯 거대하기 그지없다.
둘레가 거의 1.5㎞에 달해 펜타곤 건물을 능가한다. 애플에 의하면 이곳에는 1만3,000여명의 임직원이 이주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최고 디자인 책임자인 조너선 아이브와 팀 쿡CEO도 포함돼 있다.
무려 50억달러로 추정되는 건설비에 걸맞게 애플 캠퍼스 2는 모든 에너지를 청정에너지로부터 얻는다.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전지에서만 16㎿의 전력이 생산된다.
하지만 이보다 눈길을 끄는 것은 따로 있다. 사옥 전체가 3,000장의 곡면 유리패널로 감싸진다는 점이다. 이는 한 건축물에 사용된 건축용 강화유리로는 역대 가장 많은 숫자다. 또한 한국의 재래 장독처럼 숨을 쉬는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애플이 본보와 특약한 파퓰러 사이언스 독자들을위해 이 같은 양대 혁신 디자인의 비밀을 독점 공개했다.
▶유리 패널
신사옥을 뒤덮은 유리 패널은 독일의 제다크(Sedak) 사에서 공급한다.
생전의 스티브 잡스가 아껴마지 않았던 맨해턴의 애플 스토어 건설에도 참여했던 업체다. 애플은 제다크에높이 3.2m, 넓이 11~14m의 대형 판유리를 요구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건설용 판유리의 두 배가 넘는 크기였다. 종류도 수직 유리 900장을 비롯해 캐노피용 1,600장, 채광용 510장,천장용 126장으로 다양했다.
제다크에 따르면 가장 무거운 것은 개당 3톤이나 나간다고 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오늘날 최상급 건설용 판유리의 허용오차는 8분의 1인치(3.17㎜) 정도다. 완제품의 크기가 이 정도까지는 서로 차이가 있어도 무방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애플에 납품된 판유리는 극도의 정밀작업을 거쳐 허용오차가 0.79㎜에 불과하다.
▶콘크리트 슬래브
애플의 신사옥은 숨을 쉰다. 바닥과 천장에 특수 중공(中空) 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하나의크기가 평균 4×12m인 이 슬래브는 세계적인 건축회사 포스터 앤드 파트너스가 70명의 엔지니어를 동원해 설계했다. 콘크리트 속 공기구멍들로 인해 자가 환기 효과가 있어 환기시설 및 냉방시설 의존도를 크게 줄일수 있다고 한다. 물론 이 공기구멍들은 콘크리트의 강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신사옥에 투입된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는 총 4,300장이며, 중량으로는212톤에 달한다. 하지만 더 스페이스십의 구내식당 출입문의 높이와 중량이 각각 28m, 330톤임을 감안하면 정말 가벼운 것이다.
<
파퓰러 사이언스 특약>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