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7개 국가·지역·국제기관 대표 참석…첫날 세계경제·혁신 논의
▶ 각국 정상들, 활발한 ‘외교전’…아베-트럼프, 文-푸틴 정상회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일본 오사카의 ‘인텍스 오사카’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세계 주요 국가 정상들과 국제·지역 기구의 대표들이 총출동한 가운데 28일(현지시간)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개막돼 이틀간의 일정을 시작한다
이번 회의에는 G20 회원국 정상(급) 19명을 비롯해 37개 국가·지역·국제기관의 대표들이 대거 참가한다.
첫날 공식 일정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마중을 받으며 회원국 정상들이 회의 장소인 인텍스 오사카에 모여 함께 기념 촬영을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폐막 섹션을 포함해 모두 5개의 공식 세션이 마련됐다. 첫날 낮 오찬과 함께 시작되는 첫 세션은 '세계 경제·무역 투자'를 주제로 열리며 이어 '혁신'을 주제로 한 두 번째 세션이 진행된다.
첫 세션에서 정상들은 세계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모든 정책수단을 활용하기로 뜻을 모을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세계 주요 국가와 국제ㆍ지역 기구의 대표들이 총출동해 세계 경제 협력 문제를 논의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28일부터 이틀간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열린다.
또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의 중요성을 공유하는 한편 세계무역기구(WTO) 개혁의 속도를 높이기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세션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발언자로 나선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디지털 경제와 인공지능(AI)이 의제로 논의된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자유로운 유통'의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인 규칙 만들기와 인공지능(AI)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원칙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아베 총리는 이날 데이터의 유통과 전자상거래에 관련 규칙을 만들기 위한 협상 틀인 '오사카 트랙'을 제안할 계획이다.
저녁에는 아베 총리 주최 만찬이 문화행사와 함께 오사카 영빈관에서 열린다.
회의 개막과 함께 각국 정상들은 양자 회담을 통화 '외교전'을 본격적으로 펼친다.
전날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만찬을 함께 한 트럼프 대통령은 28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베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푸틴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 등과도 회담하며 아베 총리, 모디 총리와 함께 하는 3자 회담 일정도 잡혀 있다.
26일 일찌감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한 뒤 27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났던 아베 총리는 28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지난달 말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만나 '브로맨스'를 과시할 계획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일본을 향해 출발하기 전 "일본이 공격받으면 우리(미국)는 싸우게 되겠지만, 일본은 소니 텔레비전으로 (미국에 대한) 공격을 지켜보면 된다"면서 미·일 안보조약에 대해 불만을 쏟아낸 만큼, 그가 안보 문제를 거론하며 무역 압박을 걸어 일본이 곤혹스러운 상황에 부닥칠 수도 있다.
전날 오사카에 도착해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문재인 대통령은 28일에는 푸틴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한다. 문 대통령은 G20을 계기로 7개국 정상과 회담한다.
공식적인 한일 정상회담은 열리지 않을 전망인 가운데 한일 정상이 비공식적으로 짧은 만남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G20에 모인 정상들의 '외교전'은 폐막일인 29일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초 워싱턴DC에서 열린 무역협상이 무위로 끝난 이후 미국이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하고, 이에 대해 중국이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최고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은 3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대한 추가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위협하는 등 미중 간 무역전쟁은 확산일로를 걷고 있다.
이번 '담판'에서 두 정상이 추가 보복 조치 계획을 중단하면서 '휴전'을 선언하고 협상을 재개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는 가운데, 담판을 거치면서 오히려 협상의 판이 깨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26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이 90%는 마무리됐다"고 밝혀 빅딜 성사 가능성을 높였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과 중국이 이미 추가관세 부과를 자제하는 등 무역전쟁 '휴전'에 잠정 합의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