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10) 한지
한지에 목판으로 인쇄된 우리 역사기록의 대들보. 1145년도에 김부식(金富軾)등이 집필하고, 1512년(중종 7년)에 간행된 옥산서원 소장 삼국시대사 삼국사기(三國史記). (국보 제322-1호)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중 강형원 촬영. 1573년(만력원년) 옥산서원에서 소장한 기록이 보인다. 목록에 ‘김부식 봉선찬(金富軾 奉宣撰)’이 찍혀있다.
1200년대 한지에 고려시대 목판 인쇄한 대방광불화엄경은 발(종이를 뜰 때 사용하는 대나무발) 자국이 선명하고, 지합(Formation: 종이바탕이 치밀하고 고른 것)이 좋아 보이고 장섬유로 보아 닥섬유를 수타고해(손으로 닥을 두들겨 섬유를 풀어주는 방식)를 한 것으로 보인다. 영천역사문화박물관(관장 지봉스님) 소장본.
한지 지합이 가장양호하며 수타고해가 잘 이루어진 종이로 보이는 세조(1455~1468) 대 왕명으로 목판 인쇄 제작된 경전 아비달마 대비파사론 권제20. 영천역사문화박물관 소장본.
한지 종이를 뜰 때 사용하는 대나무발 자국이 선명하고 지합이 좋아 보이지 않고 점같은 것이 많이 보이므로, 잡티가 들어 있거나 닥나무 이외의 재료가 혼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이는 조선 전기 1411년에 간행된 대표적 목판 인쇄물 대전화상주심경. 영천역사문화박물관 소장본.
한지 지합이 다소 안 좋아 보이나 장섬유가 많이 보이는, 그 당시는 수타고해로 장섬유가 더 많았을 것으로 생각되는 1301년(대덕5년)에 목판 인쇄본 불정심 관세음보살 모다라니. 종이 texture를 비교하고자 같이 촬영한 미화 20달러 지폐는 평균 2년 조금 지나면 화폐 종이가 폐기 처리된다. 영천역사문화박물관 소장본.
한국산 닥 나무에서 흑피, 청피를 제거한 속껍질을 정제해놓은 과정의 모습.
한지 종이뜨기를 거쳐서 탈수하는 과정.
경북 ‘안동 한지’에서 생산한 한지 종이를 건조 후 두들겨서 밀도와 평활도를 높인 합지(도침외발음양지)를 가까이서 보면 닥 나무 섬유질이 보인다.
경북 ‘안동 한지’에서는 연간 70여가지의 한지를 50만장 정도를 생산하고 있는데, 10~15% 정도는 최상급 한지는 천연과정을 거쳐 생산하며, 조선 왕실에서 국가의 주요 행사가 있을 때 남기는 기록문서 조선왕조 의궤용 한지도 만든다. 최상급 한지는 1300년 수명을 기대할 수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이나 임명장에 쓰이는 최상급의 한지. 경북 ‘안동 한지’에서는 10~15% 정도 최상급 한지를 천연과정을 거쳐 생산한다.
한지로 만든 천연염색 의상. 우리 문화에서 다목적으로 쓰여온 한지의 용도는 계속 늘고 있다.
김명순 작가가 한지를 꼬아 만든 끈을 가지고 제작하는 지승기법으로 만든 한지 공예품 팔각함.
‘안동 한지’ 대표 이병섭 대표가 20년 동안 잠을 재운 쌍발 가둠뜨기 방식으로 제작한 풍산특산한지를 보관 원위치에 옮겨놓고 있다.
한미사랑의재단 이호제(사진) 총재의 자서전 출판 기념식이 오는 20일 뉴저지 포트리에서 열린다. 이날 오후 3시 포트리 소재 ‘The Chur…
뉴욕한국문화원(원장 김천수)이 박현민 작가 초청 그림책 웍샵을 개최한다.6~9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오는 20일 오후 2시 문화원에서 열리는 …
뉴저지에서 활동하는 수 북클럽(회장 김미연)이 창립 10주년을 맞아 오는 13일 오전 11시 포트리에 위치한 한 식당에서 기념행사를 연다.20…
롱아일랜드한국학교(교장 고은자)는 지난달 28일 온라인 교사연수회를 실시했다. 이날 오정선미 드렉슬대학 한국어 프로그램 디렉터가 ‘AI와 함께…
뉴욕한인회는 지난달 26일 맨하탄 소재 뉴욕한인회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미술작품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수상자는 ▲청소년부 Ayde…
한국 외교부 “우려 전달, 미 이민당국과 협의” 4일 조지아주 현대차-LG 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미 이민 단속 역사상…
코리아타운 조형물의 현판이 원상복구됐다. 코리아타운위원회(위원장 박수철)는 지난 2022년 고 헨리 김(한국명 김상태) 전 위원장의 기여를 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초강경 이민 단속 정책기조 속에 시민권 시험에 합격한 영주권자까지 이민 단속의 대상이 돼 체포된 사례가 보고되면서 영주…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