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25) 제주도 감귤
제주도에서는 언덕을 ‘오름’이라고 부른다. ‘궷물오름’ 앞으로 온실 재배하는 귤들이 자라는 비닐하우스들이 펼쳐져 있다.
제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귤나무 뒤로 제주섬의 기후를 관리하는 한라산 정상이 보인다. 태평양 바다와 앤젤레스 내셔널 포레스트 산맥 사이에서 지중해성 온화한 기후의 생태계를 가진 LA처럼, 제주도 서귀포시를 비롯해 남쪽바다와 병풍처럼 에워싼 한라산이 있는 제주도는 남가주 기후와 비슷한 점이 많다.
미국 주택 건축에서 외벽 습기 차단용으로 쓰이는 타이벡(Tyvek) 방수천을 제주 감귤 농장에서는 감귤나무 뿌리 수분 차단용으로 사용해서 수확을 앞둔 감귤에 단맛을 높이는데 사용하고 있다.
강계남(1574~1632) 할아버지가 제주 애월읍 상가리에 있는 집을 지을 때 기념으로 심었던 진귤나무 3그루가 4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그 종갓집 담 안에 그대로 우뚝 서 있다. 이 종갓집은 제주 4.3 학살사건 때 주변의 많은 집들이 불타고 주민들이 이주를 나갔지만 피해가 없었다고 한다.
강계남 할아버지의 차남인 1630년 생 강두환의 13대 종손 강성요(77)씨와 종갓집 맏며느리인 동갑내기 부인 박영옥씨 부부가 400여년이 넘은 조상의 집에서 살고 있다.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귤나무에 열린 진귤.
한라산 정상 모습을 연상케 한다 하여 ‘한라봉’이라고 불리는 제주 감귤은 씨가 없는 캘리포니아 오렌지 맛이 난다.
온실(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한라봉을 한 해녀가 수확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해녀들이 물질을 나가도 물건(해물) 채취가 예전처럼 많지 않아서 해녀들도 농장에서 일을 한다. 한라봉은 냉장보관하면 여름까지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나무에서 한라봉 꼭지를 기술적으로 잘라야만 한다.
프랑스 출신 Esmile J. Touguet(엄탁가 신부)가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성당에 근무하면서 제주산 식물을 연구하였는데, 한라산에서 발견한 벚나무의 원종을 일본으로 보내면서 일본에서 씨가 (거의) 없는 온주밀감 묘목을 1911년에 최초 도입해 온주밀감이 우리나라에서 정착됐다. 한국순교복자수도회 면형의 집에 있던 온주밀감나무 1호는 2019년 4월에 뿌리가 썩어서 더 이상 서있지 못하지만, 60여년 이상 1호 나무와 같이 자라온 밀감나무에 씨 없는 맛있는 귤이 열려 있다.
최근 한파에 내린 눈을 맞은 제주섬의 감귤.
제주도민들이 독점적으로 먹는 귤 중에는 노지 감귤이 있다. 햇볕을 쪼이면서 야외에서 자란 귤로, 크기가 작아서 섬 밖으로 반출은 되지 않지만 맛있는 귤이다.
제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귤은 자몽(grapefruit) 크기의 레몬맛 나는 하귤이다.
제주 약천사의 자몽 크기만 한 레몬맛 나는 하귤.
서귀포 매일올레시장에서 볼 수 있는 제주밀감 판매대에서 ‘신혼부부 특별할인’이라는 문구가 방문객들의 걸음을 멈추게 한다.
한미사랑의재단 이호제(사진) 총재의 자서전 출판 기념식이 오는 20일 뉴저지 포트리에서 열린다. 이날 오후 3시 포트리 소재 ‘The Chur…
뉴욕한국문화원(원장 김천수)이 박현민 작가 초청 그림책 웍샵을 개최한다.6~9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오는 20일 오후 2시 문화원에서 열리는 …
뉴저지에서 활동하는 수 북클럽(회장 김미연)이 창립 10주년을 맞아 오는 13일 오전 11시 포트리에 위치한 한 식당에서 기념행사를 연다.20…
롱아일랜드한국학교(교장 고은자)는 지난달 28일 온라인 교사연수회를 실시했다. 이날 오정선미 드렉슬대학 한국어 프로그램 디렉터가 ‘AI와 함께…
뉴욕한인회는 지난달 26일 맨하탄 소재 뉴욕한인회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미술작품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수상자는 ▲청소년부 Ayde…
새 학기를 맞아 ‘교내 휴대폰 사용 전면 금지 의무화’가 뉴욕시 모든 공립학교에서 일제히 시행에 들어갔다. 2025~26학년도 새 학기 개학일…
코리아타운 조형물의 현판이 원상복구됐다. 코리아타운위원회(위원장 박수철)는 지난 2022년 고 헨리 김(한국명 김상태) 전 위원장의 기여를 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초강경 이민 단속 정책기조 속에 시민권 시험에 합격한 영주권자까지 이민 단속의 대상이 돼 체포된 사례가 보고되면서 영주…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