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31) 목탁(木鐸)
▶ 목탁은 목어(木魚)를 상징... ‘눈 감지 않는 물고기’처럼 “항상 깨어 있으라” 경각심
제주도 약천사에서 묵담 스님이 도량석(道場釋) 목탁을 치며 사찰을 돌고 있다. 사찰에서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새벽에 치르는 도량석은 일반적으로 새벽 4시에 절에서 모든 사람을 일깨우며 도량(道場)을 청정하게 하는 의식이다. 제주 약천사에서는 신도들을 배려해서 아침 예불을 새벽 5시에 갖는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조선시대 목탁은 요즘 목탁보다 크기가 작다. 물고기를 상징하는 목탁은 소모품으로, 깨진 것은 소각하기 때문에 아주 오래된 목탁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경상북도 영천역사박물관 소장품. Photo ⓒ 2021 Hyungwon Kang
지난 반세기동안 할아버지, 아버지를 이어 손자가 3대째 목탁을 만들어오고 있는 ‘영천목탁’에서 제작한 벚나무(cherry wood)로 만든 목탁. Photo ⓒ 2021 Hyungwon Kang
좌대 목탁으로 법당이나 대웅전에 놓고 앉아서 치는 목탁이다. 보통 한손으로 목탁을 치고, 다른 한 손으로 불경책을 읽고 넘기면서 많이 사용한다. 새벽을 깨우는 도량석 목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벚나무(cherry wood)로 수작업을 한(handmade) 목탁. Photo ⓒ 2021 Hyungwon Kang
박달나무와 단풍나무로 ‘영천목탁’에서 만드는 목탁채. 박달나무 채는 목탁소리를 맑게(고음 clear & high), 그리고 단풍나무 채는 목탁소리를 부드럽게(중저음 middle & low) 나게 한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목탁을 만드는 나무는 3일간 삶아서 가공해 이후 1년을 자연건조한 후 옻칠을 6~7번 한다. 옻칠을 마친 목탁이 건조되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영천목탁’의 목탁 장인 아버지 안종식(오른쪽)씨와 아들 안진석씨가 목탁을 만들기 위해 살구나무 결을 찾아 3대째 써오고 있는 50년 된 망치로 통나무를 쪼개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목탁 장인 안종식씨가 살구나무 목재에서 목탁을 깎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인도네시아산 마하고니 목재로 만든 397파운드(180kg)에 달하는 대형 목탁의 눈구멍 사이로 보이는 목탁 장인 안종식씨. Photos ⓒ 2021 Hyungwon Kang
‘영천목탁’의 낙관 ‘충’은 안종식씨의 고향이자 창시자 할아버지 목공방 이름의 충북공예의 ‘충’에서 이어져왔다. 영천으로 이사온 뒤 ‘영천목탁’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지만 낙관은 그대로 ‘충’을 사용해오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목탁 장인 안종식씨가 대형 목탁을 두들겨보고 있다. Photos ⓒ 2021 Hyungwon Kang
완성된 목탁에 옻칠을 한 부인 김경옥씨가 대형 목탁을 검토하고 있다. Photos ⓒ 2021 Hyungwon Kang
요즘 목탁은 크기와 소리가 많이 커졌다. 불교에서 나무로 만든 악기인 목탁은 의식용 악기이며 영물이다. 경상북도 영청 용화사에서 지봉스님이 예불 중 목탁을 두드리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경상북도 영청 용화사에 있는 목탁. 요즘 목탁은 크기와 소리가 많이 커졌다. 불교에서 나무로 만든 악기인 목탁은 의식용 악기이며 영물이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저녁시간에 범종(梵鐘)과 법고(法鼓)를 치러 가는 통도사 스님들. 보물 제1471호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梁山 通度寺 三層石塔)을 지나가는 안행의 모습이다. 스님들이 줄을 지어 걷는 것을 마치 기러기들이 행렬을 지어 가듯 한다고 하여 안행(雁行)이라고 한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통도사의 스님이 법고(法鼓)를 치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범종(梵鐘) 타종 후 종의 울림을 경형하면 만병이 몸에서 나간다는 설명을 듣고 범종을 느끼고 있는 방문객들. 범종을 치는 것은 그 소리로 모든 중생(지하에 있는 모든 벌레 포함)을 생사를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구제해서 생사 없는 열반으로 안내하기 위함이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제주도 약천사에 있는 운판(雲板)은 뭉게구름 모양의 얇은 청동 또는 철제 평판이며, 두드리면 맑고 은은한 소리가 나는 불교 공예품으로 날아다니는 모든 짐승을 제도(濟度)한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아시안아메리칸 사법경찰 자문위원회(대표 유주태)는 지난 11일 퀸즈 플러싱 소재 160BBQ 식당에서 월례회를 열었다. 이날 위원들은 근무 …
정혜선한국전통예술원은 지난 13~14일 양일간 H마트 뉴저지 릿지필드점에서 열린 아시안 음식 문화 페스티발 초청 공연을 가졌다. 이날 예술원…
뉴욕한인봉사센터(KCS) 플러싱한인경로회관 모던댄스팀(단장 이경옥)이 11일 퀸즈 플러싱 유니온 너싱홈을 방문, 위문공연을 펼쳤다. 이날 25…
퀸즈한인회는 지난 12일 뉴욕총영사관과 함께 퀸즈 플러싱 협회 회의실에서 9월 퀸즈 지역 순회영사 서비스를 개최했다. 이날 여권, 국적, 병역…
법륜스님(사진)의 즉문즉설 ‘행복한 대화’ 강연이 오는 26일 뉴저지와 27일 뉴욕에서 각각 열린다. 즉문즉설은 사전질문이나 제한없이 청중…
‘2025 한국일보 오픈 겸 뉴욕한인골프협회 왕중왕 골프대회’가 지난 11일 뉴욕주 스프링밸리 소재 뉴욕 컨트리클럽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한국…
재미이산가족 상봉추진위원회(DFUSA)는 15일 민주당 수하스 수브라마니암(Suhas Subramanyam) 연방 하원의원을 만나 연방 의회에…
꽁꽁 얼어붙었던 가족이민 영주권 문호가 모처럼 풀리면서 이민 대기자들의 숨통을 터줬다.가족이민 문호 모처럼 풀렸다국무부가 최근 발표한 2025…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