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47) 문경새재
문경에서 충주로 통하는 3개의 성문중, 문경새재도립공원 첫 번째 관문인 주흘관(主屹關)에는 영남제1관(嶺南第一關) 현판이 걸려있다. 사적 제147호로 지정된 문경 조령 관문을 통해서 역사적으로 선비들의 과거시험을 보러가고, 보부상들의 교역 루트(route)가 지역간 통신을 연결했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백두대간을 넘어오는 주 도로인 문경새재를 천혜의 군사요충지라는 가치를 인식한 조선은 3중으로 성을 쌓아 방어시설을 해놨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문경에서 충주로 통하는 문경새재도립공원 첫 번째 관문인 주흘관(主屹關) 성은 소백산맥 주변에 험준한 산세로 둘러싸여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사적 제147호로 지정된 문경 조령 관문 영남제1관(嶺南第一關)의 양 옆 성벽.
[Photo ⓒ 2021 Hyungwon Kang]
문경새재 해발 2,133피트(650미터) 정상에는 1708년 축조된 ‘영남제3관(嶺南第三關)’이라는 현판을 단 세 번째 관문인 조령관(鳥嶺關)이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1594년에 축성된 문경새재 제2관문 조곡관(鳥谷關) 앞 다리 위에는 신령스러운 동물의 상을 한 해치상이 지키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1950년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던 도중 6·25 전쟁이 터지면서 인민군으로 지원해 전국을 발로 뛰며 전쟁을 경험했던 양원진(93) 할아버지는 1950년 11월 미군을 기습 공격해서 노획한 카빈 총알 500발을 짊어지고 문경새재를 새벽에 넘었던 기억이 있다고 한다. 비전향장기수인 양 할아버지는 “통일이 되면 장가 가겠다”는 젊었을 때 결심으로 평생 독신으로 살아오면서 “지난날 결혼할 뻔했던 여성들을 생각하면 미안한 생각”이 든다고 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동족상잔의 비극인 6·25의 피해 속에 아직도 계속해서 살고 있는 비전향장기수 어르신들. 왼쪽부터 김영식(88), 양원진(93), 박희성(86)씨. 모두 각각 27년, 29년반, 27년의 징역을 살고 나와 사단법인 정의·평화·인권을 위한 양심수후원회(이사장 김호현) 공간에서 거주하면서 고향으로 송환되기만 간절히 간구하고 있다. 2000년 판문점을 통해 비전향장기수 63명을 1차 송환한 이후, 2차 송환 신청자 33명 중 대부분 사망하고 현재 남은 총 11명의 비전향장기수가 남북한 양측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여인의 춤추는 모습을 연상하는 교귀정 소나무는 문경새재 과거길에 있는 경상감사들의 교인식(인수인계)을 갖던 정자인 교귀정 앞에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문경새재 도립공원 주흘관(主屹關) 옆에 흐르는 초곡천이 기암괴석 절벽 앞으로 흐른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문경새재 도립공원 내 조곡폭포. [Photo ⓒ 2021 Hyungwon Kang]
호랑이가 나왔다는 문경새재를 넘으면서 숙식을 할 수 있었던 조령원터(숙박시설) 입구. 국가에서 운영했던 시설이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용추 계곡에는 맑고 차가운 물이 흐른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소원성취탑 - 문경새재를 지나는 길에 길손들의 소원성취를 위해 쌓은 돌무더기 탑이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뉴욕한인의사협회(회장 이현준)는 지난 22~24일 인도네시아 보고르를 방문해 해외 의료봉사 활동을 펼쳤다. 이번 활동에는 이현준 회장을 비롯해…
미주한미경찰자문위원회는 29일 퀸즈 앨리폰드팍에서 야유회 및 임원 단합대회 웍샵을 개최했다. 자문위 임원들이 이날 행사에서 함께하며 친목을 다…
뉴저지 팰리세이즈팍에 있는 토탈문화센터는 10주 과정의 서양화 기초 과정을 시작한다.드로잉과 수채화 기초 코스를 가르치는 서양화 기초반에서는 …
기브챈스는 지난 22, 26일 뉴저지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지역 중학생들을 위한 병리학 실습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필립스 아카데미 …
뉴욕가정상담소는 28일 여름 영어 글쓰기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프로그램은 내달 21일까지 참가자들이 영어로 자신을 …
31일 뉴욕시 일원에 기습적으로 쏟아진 집중 폭우로 인해 상당수 주요 도로가 침수되며 퇴근길 극심한 교통대란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
음식 한류를 주도하고 있는 워싱턴 지역의 한식 셰프들이 한자리에 모인다.워싱턴 지역 올해 최고의 레스토랑·셰프 등을 선정해 발표하는 ‘래미스 …
워싱턴 DC 근교의 버지니아주 한인타운이 자리한 애난데일 지역에서 한인 등 3명의 노숙자가 변사체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본…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