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SJ 보도…”인도 정부, 업계에 값싼 러시아 원유 구매 권장”
▶ “유조선 보험지원 검토중…국제사회 제재망 회피수단도 진화”
인도 정부가 국영 석유회사들에 값싼 러시아산 원유를 더 살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업계 고위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미 러시아 석유 제품의 주요 바이어로 부상한 인도의 이러한 행보는 서방의 대(對)러시아 제재 효과를 상당 부분 떨어뜨릴 것으로 우려된다.
인도 석유업계의 고위 임원들은 최근 몇 주 동안 정부 관리들이 수입을 지속하는 것은 물론 러시아 원유의 가격 인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라고 강하게 독려 중이라고 WSJ에 밝혔다.
이에 따라 국영 인도석유공사는 러시아 최대 국영 석유회사인 로스네프티와 추가 공급 계약을 협상 중이라고 한 소식통이 전했다.
에너지 정보제공업체 케이플러에 따르면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은 지난 2월 말 우크라이나 침공 전보다 25배 이상 폭증했다. 6월 들어 인도는 하루 평균 100만 배럴의 러시아 원유를 구매하고 있다.
러시아산 우랄유는 브렌트유보다 최대 배럴당 37달러 싸게 거래돼 인도로서는 자국 에너지 수요를 충당하는 것은 물론 인플레이션 압력을 일정 부분 억제하고, 자국 통화 가치를 지키는 등의 거시경제적 효과를 누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인도 석유회사들은 유럽의 대러시아 제재를 피해 러시아 원유를 계속 들여오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인도의 항구들로 러시아산 원유를 실어나르는 유조선의 80%가 유럽연합(EU) 소속인데, EU가 12월부터 러시아 석유를 운송하는 선박에 대한 보험을 금지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인도 정부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유지하기 위해 보험을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라고 WSJ이 전했다.
국제사회의 제재망을 우회하는 인도 기업들의 회피 수단도 진화하고 있다.
선박 운항 정보업체 마린트래픽 등에 따르면 '엘란드라 데날리'라는 이름의 한 선박이 지난 3일 인도의 한 국영 석유회사 소유 정유시설까지 러시아산 원유를 실어날랐으나, 이 선박은 한 번도 러시아를 들른 적이 없다. 이 선박의 마지막 기항지는 3개월 전 한국이었다.
대신 이 선박은 지브롤터 인근 바다 위에서 흑해와 발트해의 러시아 항구들에서 출발한 3척의 다른 유조선으로부터 해상에서 다양한 화물을 넘겨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자유 민주주위를 훼방하고 자기만이 옳고잘한다고 우기는 이기주위 트 와 인도가 하는 지구촌을 망하게도 할수있는 푸 를이용해 자국오늘만의이익을위한다는 속좁은 쌩각이 내일엔 다른나라가 인도가 도움이 필요할땐 무어라 할말이나 있을까나...ㅉㅉ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