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 대표기업 ‘우뚝’
▶챗GPT도 가장 많이 사용
▶ 매주 전세계 2억5,000만명
▶MS·엔비디아·손정의 참여

오픈AI가 66억달러의 신규 자금을 조달하면서 기업가치도 1,570억달러로 껑충 뛰었다. [로이터]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 유치로 관심을 끌었던,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자금 조달(펀딩)이 마무리됐다.
오픈AI는 2일 홈페이지를 통해 “1,570억달러의 (기업) 가치로 66억달러의 신규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투자 유치 금액은 당초 알려진 65억달러보다 소폭 늘었고, 기업 가치도 1,500억달러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픈AI는 “우리는 인공지능(AI)이 모든 인류에게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한다는 사명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며 “미션 진전을 가속하기 위해 신규 자금을 조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매주 전 세계 2억5,0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업무, 창의성, 학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챗GPT를 사용하고 있다”며 “산업 전반에 걸쳐 기업들은 생산성과 운영을 개선하고 있으며, 개발자들은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우리의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며 “새로운 자금으로 첨단 AI 연구 분야의 리더십을 두 배로 강화하고 컴퓨팅 용량을 늘리며 사람들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를 계속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픈AI는 “우리는 고급 인텔리전스를 널리 이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우리를 믿어주신 투자자들에게 감사드리며, 파트너와 개발자, 더 넓은 커뮤니티와 협력해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AI 기반 생태계와 미래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국 및 동맹국 정부를 비롯한 주요 파트너와 협력함으로써 이 기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오픈AI는 이번 펀딩에 참여한 투자자는 언급하지 않았다.
스라이브 캐피털이 주도한 이번 펀딩에는 기존에 130억달러를 투자한 마이크로소프트(MS)와 엔비디아를 비롯해 아랍에미리트(UAE) 투자사 MGX, 일본 소프트뱅크의 비전 펀드, 벤처캐피털 코슬라 벤처스, 피델리티 등이 참여했으며, 당초 투자할 것으로 예상됐던 애플은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의 비전 펀드가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5억달러를 투자한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소프트뱅크의 이번 오픈AI에 대한 투자는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회사에 대한 투자로는 처음이다.
이번 투자는 전환사채 형태로 이뤄졌으며, 비영리 이사회의 통제에서 벗어나 오픈AI가 영리 기업으로 구조를 변경하고 투자자의 수익률 상한선을 없애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2년 이내에 이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투자자들은 자금을 회수하거나 기업가치를 재협상할 수 있는 조건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자금 조달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 오픈AI의 기업가치는 껑충 뛰어올랐다. MS가 투자를 진행한 지난해 초(290억달러)와 비교하면 5배를 넘는다.
이에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함께 가장 비싼 3대 비상장 기업이라는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게 됐다. [연합]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