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일본·영국·중국 등 주요 선진국 동결 예상
▶ 연준 9월 첫 인하 관측
▶ 인플레·경기침체가 변수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이번 주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 다수가 동결을 선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상반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진 상태지만, 9월은 되어야 인하가 가능할 것이라는 신중론도 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RB·연준)는 18∼1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월 기준금리 동결(4.25∼4.50%) 후 기자회견에서 “관세·이민·재정정책·규제와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고 최근에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확인한 바 있다.
그 사이 트럼프 대통령은 전방위적인 관세 무기를 휘두르고 있다. 취임 직후 중국·멕시코·캐나다를 상대로 관세 포문을 연 데 이어 이달 12일에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내달 2일 국가별 ‘상호 관세’도 예고한 상태다. 그동안 뉴욕 증시의 S&P 500 주가지수는 연고점 대비 8%가량 하락했고, 시장에서는 개인소비지출 감소와 실업률 상승 지표 등을 근거로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이 이번 FOMC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어떤 발언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또 이번에 발표될 분기 경제전망(SEP)에서 연준이 트럼프 집권 후 미국 경제 성장률·인플레이션 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할지도 관전 포인트다. 연내 기준금리 인하 횟수를 가늠할 수 있는 점도표(연준 인사들의 기준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도표)와 양적 긴축 속도 관련 입장도 주목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를 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이번 달 연준의 금리 동결 확률을 98%로 보고 있다.
다만 최근 침체 우려를 반영, 6월 기준금리가 지금보다 낮을 가능성(77.1%)은 동결 전망(22.9%)을 앞선 상태다. 한 달 전만 해도 이 수치는 반반 정도였다.
블룸버그 통신이 7∼12일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연준이 상반기에 금리를 동결하고 9월에야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중간값 기준으로 보면 9·12월 각각 0.25%포인트씩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조사 당시에는 3월을 시작으로 연내 3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한 바 있다.
이번 주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19일)과 영국(20일)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도 예정되어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이들 3개국이 한주에 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은 1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올렸는데, 이번에는 지난번 금리 인상 효과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판단하기 위해 지켜봐야 한다는 견해가 우세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연 4.50%로 0.25%포인트 내렸던 영국 중앙은행 잉글랜드은행(BOE)도 이번에는 금리에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영국의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보다 0.1%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물가 우려 등에 따라 신중한 입장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밖에 인도네시아(19일), 중국·대만·스웨덴·남아프리카공화국(20일) 등도 금리 동결 전망이 우세하다.
반면 브라질(19일)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고, 스위스(20일)는 동결과 인하 견해가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