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을 통해 차를 사는 것도 딜러와 힘겨루기를 피하는 한 방법이다.
‘온라인 협상’에 길 있다
기왕이면 더 싼 가격에 차를 사고 싶지만 자동차 세일즈맨과 신경전을
벌이는 게 싫은 소비자도 있다. 딜러들의 차 전시장에 가기가 싫은
소비자에게 적합한 다른 차 구입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런 소비자들도
구입 결정을 하기 전 ‘에드먼즈 닷컴’(Edmunds.com)의
‘실제 시장가치’(True Market Value)나 켈리 블루 북의 ‘신차 블루 북’
(New Car Blue Book value)을 참고하는 게 좋다. 전문가들이
조언하는 비전통적인 신차 구입 방법을 소개한다.
사이트에 원하는 모델·옵션 선택하면
최저가 견적에 협상대리인 고용까지
코스코·샘스클럽서 가격 비교도 가능
▲코스코(Costco)에서 산다.
요즘은 코스코나 ‘샘스 클럽’ ‘BJ`s 홀세일 클럽’에서도 차를 구입할 수 있다. 차 구입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할인 체인에 원하는 차와 옵션을 제출하면 적절한 가격을 제시받는다. 만족하면 체인이 지정한 딜러십을 방문해 돈을 내고 차를 가져오면 차 구입과정은 끝난다.
그러나 이런 곳에서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다고 믿어서는 안 된다. 딜러와 밀고 당기는 신경전을 치르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에 차를 사는 것이 장점이다.
▲온라인 딜러를 찾는다.
웹사이트 ‘오토바이텔 닷컴’(Autobytel.com)에 접속하면 소비자의 주변 지역에 위치한 딜러에게서 견적을 얻을 수 있다.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인터넷, 이메일 등을 통해 협상을 해서 가격을 더 낮출 수도 있다.
오토바이텔이 견적을 단 하나만 내주는 것과 달리 야후! 오토(Yahoo! Autos), 에드먼즈 닷컴, 켈리 블루 북, AOL 오토는 여러 딜러들로부터 견적을 대신 받아준다.
받은 견적에서 딜러와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얼굴을 마주보지 않고도 협상은 가능하다. 이메일과 전화를 주고받으면서 모든 구입 과정을 끝낼 수 있다.
▲협상 대리인을 고용한다.
‘카바긴즈’(Carbargains)는 소비자를 대신해 차 구매 협상을 벌이는 회사다. 소비자가 190달러를 지불하면 이 회사의 직원이 최소 5곳 이상의 딜러에게 전화를 해서 소비자가 원하는 차종의 가격을 물어본다. 이 회사는 어떤 딜러와도 공식적인 계약 관계를 맺고 있지 않아서 직원들이 자유롭게 누구와도 협상을 벌일 수 있다. 190달러가 작은 돈은 아니지만, 특정 딜러와만 가격 협상을 벌이는 다른 업체에 비하면 카바긴즈의 자유로움은 소비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카바긴즈는 딜러와 직접 전화 통화를 하기 때문에 실제 구입 가격에 가장 근접한 조건을 소비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 구매한다.
책을 아마존 닷컴에서 구입하듯 차도 ‘카즈디렉트 닷컴’(Cars Direct.com)에서 살 수 있다. 이 웹사이트는 여러 가지 조사 도구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가격 협상 전문가들을 직원으로 고용해 ‘선협상 가격’을 설정해 놓고 있다. 원하는 모델과 옵션을 정하면 이 웹사이트는 최저가 보증제도를 실시한다. 다른 곳에서 똑같은 조건에 대해 더 낮은 가격을 제시받으면, 이 웹사이트는 차액만큼을 돌려준다.
소비자가 ‘선협상 가격’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웹사이트처럼 단순 딜러 가격을 제공한다.
<김호성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