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범 기업에 1인당 월 40만원 지원..“칼퇴근 정착이 우선”
정부가 내수 활성화를 위해 ‘금요일 조기 퇴근’을 추진할 방침이어서 이 제도가 실제로 뿌리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는 지난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내수 활성화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매달 하루를 ‘가족과 함께하는 날’로 정하고 조기 퇴근을 유도하는 유연근무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고속철도를 조기 예약하면 운임을 최대 50%까지 깎아주고 경차 유류세 환급 한도는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어려움을 겪는 음식점·화훼업·농축수산업 분야 소상공인에게 저리 융자를 지원하기 위해 800억원 규모의 전용자금을 조성하기로 했다.
내수 활성화 방안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금요일 조기 퇴근이다. 이 제도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4일 동안 매일 30분씩 더 일하고 ‘가족과 함께하는 날’로 지정한 금요일에는 2시간 일찍 퇴근해 가족들과 쇼핑·외식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정부는 일본 정부가 추진 중인 ‘프리미엄 프라이데이’를 벤치마킹해 이 같은 대책을 마련했다. 한국에는 미국·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늦게까지 일하는 관행이 있어 소비를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의 내수 활성화 방침에 맞춰 ‘금요일 조기 퇴근’ 등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모범 기업에는 근로자 1인당 월 40만원씩 지원된다.
그러면 직장인들을 매달 하루 2시간 일찍 퇴근시켜 돈을 쓰도록 만든다는 내수 활성화 방안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선 엇갈린 견해가 있으나 금요일 조기 퇴근이 소비 촉진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할 것이란 지적이 우세하다. 젊은 직장인 3분의 2는 퇴근하면 아무것도 못할 만큼 녹초가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최근 20∼40대 직장인 2천명을 상대로 설문한 ‘2040세대 취업 남녀의 시간 사용과 일·생활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67.8%가 ‘일을 하고 나면 지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매우 그렇다’는 직장인이 12.0%, ‘그렇다’는 대답이 55.8%였다. 일로 인한 소진감은 여성(71.4%)이 남성(65.1%)보다 더 컸다. 월수입 200만원 미만인 경우 70.3%가, 500만원 이상 고소득자는 60.9%가 퇴근 이후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데 동의했다.
직장인들은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줄이고 희망에 가깝게 시간을 나눠쓰려면 가장 먼저 정시 퇴근(칼퇴근) 보장(66.0%)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유급휴일·연차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도 53.9%로 집계됐다. 업무량 감축을 동반한 근로시간 단축(42.0%)이나 근로 시간·장소의 유연한 조정(40.7%)은 칼퇴근 요구에 못 미쳤다. 정시 퇴근 요일을 지정한 ‘가족사랑의 날’ 등 프로그램을 확대·강화해야 한다는 응답(22.1%)은 업무 시간 이후 문자·연락·지시를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38.0%)보다 적었다.
그러나 일부 직장인은 “평일에 30분씩 일을 더하고 금요일에 두 시간 일찍 퇴근하는 것은 잘 정착된다면 가끔 금요일 오후에 여행 등을 떠날 수 있어 편리한 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칼퇴근을 우선 정착시키면서 금요일 조기 퇴근도 순차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김광덕 서울지사 뉴스본부장>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