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대통령, 삼성 인도공장 방문…李, 文 차에서 내리자 90도로 인사
▶ 문대통령 세번째 오른쪽 자리에 李 앉아…李, 文 한발 뒤에서 움직여
李, 문대통령 ‘안내 역할’…삼성 휴대폰 서명 뒤 文이 웃으며 손내밀어

(노이다<인도>=연합뉴스) 인도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9일 오후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노이다시 삼성전자 제2공장 준공식에 도착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행사장으로 입장하고 있다.
인도 국빈방문 이틀째를 맞은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현지시각) 뉴델리 인근 우타르프라데시 주에 있는 삼성전자 노이다 신(新)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 행사에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도 동행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삼성그룹 관련 일정에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문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행사장에서 만났고, 양측은 행사 도중 악수하는 모습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날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애초 예정보다 30여분 지연된 오후 5시 30분께 노이다 공장에 도착, 미리 와서 기다리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마주쳤다.
이 부회장은 모디 총리의 차량이 먼저 행사장 앞에 나타나 모디 총리가 내리자 그 앞으로 이동해 가볍게 고개 숙여 인사했다.
곧이어 문 대통령의 차가 도착하자 이 부회장은 모디 총리와 함께 문 대통령의 차 앞으로 이동했다. 문 대통령이 차량에서 내리자 이 부회장이 허리를 90도가량 수차례 숙이며 영접했다.
이후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가 실내 행사장으로 옮기려고 나란히 걸어가자 이 부회장은 두 정상의 바로 뒤 가운데 자리해 걸으며 준공식장으로 안내했다.
문 대통령과 이 부회장은 이동 중에는 서로 대화하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다.
둘 다 정장 차림이었지만, 문 대통령은 붉은색 넥타이를, 이 부회장은 푸른색 넥타이를 매 대비됐다.
행사장에 도착한 뒤 문 대통령은 참석자들에게 가운데로 손 모아 합장하는 인도식 인사를 하고서 모디 총리와 함께 맨 앞자리에 앉았다.

(노이다<인도>=연합뉴스) 인도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노이다시 삼성전자 제2공장 준공식에 참석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나란히 서 있다. (왼쪽부터) 이 부회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문 대통령.
문 대통령의 한 발짝 뒤에서 이동하며 행사장 안으로 들어온 이 부회장 역시 맨 앞줄, 문 대통령의 오른쪽 세 번째에 자리 잡았다.
문 대통령 바로 오른쪽 옆에는 통로가 있고, 그 바로 옆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앉았다. 그 오른쪽 옆에는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앉았고 그 옆자리가 이 부회장의 자리였다.
이 부회장의 오른쪽으로는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이 나란히 착석했다.
문 대통령은 통역 이어폰을 착용한 채 행사장에서 상영된 환영 영상과 참석자들의 축사를 들었다.
모디 총리가 연설을 위해 단상으로 향할 때나 연설을 마쳤을 때는 일어서서 박수를 쳤고, 이 부회장도 기립해 박수를 보냈다.
문 대통령이 축사를 위해 단상을 향하자 이 부회장은 다시 기립해 박수를 쳤다.
문 대통령은 삼성전자 노이다 공장 사진과 함께 'The World's Largest Mobile Factory - MAKE FOR THE WORLD(세계 최대 휴대폰 공장 - 세계를 위해 만든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백드롭을 배경으로 한 단상에 올라 축사를 시작했다.
문 대통령은 가끔 손을 드는 제스처를 하며 진지한 표정으로 축사를 이어갔고, 이 부회장은 손을 무릎 위에 모으고 더러 고개도 끄덕였다.
문 대통령이 축사를 마치고 들어오자 이 부회장은 다시 일어서서 박수를 보냈고, 자리에 돌아온 문 대통령은 목이 탄 듯 강 장관으로부터 물컵을 건네받아 마셨다.
이후 테이프 커팅식에서 문 대통령과 이 부회장은 함께 단상으로 나갔다.
가운데에 문 대통령과 모디 부총리가 자리했고, 문 대통령의 오른편으로 홍 장관, 강 장관이 섰다. 이 부회장은 강 장관의 오른편에서 커팅식을 했다.
커팅식을 마친 문 대통령이 단상에서 내려가려고 하자 이 부회장이 뒤에 있는 LED 전광판을 가리켰다.
LED 전광판이 반으로 갈라지면 그 내부에 있는 생산라인 견학을 하는 순서가 마련돼 있다는 뜻으로, 이 부회장이 문 대통령에게 동선을 '안내'한 셈이다.
이 부회장은 생산라인 견학이 끝난 뒤 공장에서 처음 생산된 휴대전화에 문 대통령이 서명할 때에도 다시 '안내' 역할을 했다.
문 대통령이 서명을 위한 펜을 잠시 찾지 못하자, 이 부회장이 문 대통령에게 펜이 있는 곳을 가리켰다.
이에 문 대통령은 그 펜을 사용해 서명했고, 펜을 내려놓은 후에는 이 부회장을 향해 웃는 얼굴로 말을 건네며 손을 내밀었다.

(노이다<인도>=연합뉴스) 인도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노이다시 삼성전자 제2공장 준공식에 참석해 휴대전화 생산라인을 둘러 본 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잠시 멈칫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곧바로 문 대통령의 손을 잡으면서 악수했다.
이후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이날 참석자들 및 직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것으로 행사를 마무리했다.
기념사진 촬영 중에는 문 대통령이 크게 웃는 모습도 보였다.
이날 공장 방문은 당초 전용차량을 이용하기로 했지만, 인도 국민을 직접 만나자는 취지의 모디 총리의 전격 제안으로 번디하우스 역에서 보태니컬가든 역까지 11개 정거장을 지하철로 함께 이동했다.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지하철에서 내려 각각 전용차량을 이용해 공장에 도착했다.
노이다 공장은 삼성전자가 6억5천만 달러를 투자해 건설한 삼성전자 최대이자 인도 최대 규모의 휴대전화 공장이기도 하다.
이날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간디 기념관을 방문한 뒤, 모디 총리의 '깜짝 제안'에 따라 함께 지하철을 타고서 노이다 공장으로 이동했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애초 행사 예정 시각보다 30여분 늦은 오후 5시 30분에야 노이다 공장에 도착했고, 실내 행사장으로 이동하는 데 10분가량 시간이 더 걸리면서 실제 행사는 예정보다 40여분 가량 지연된 5시 40분에야 시작됐다.
문 대통령이 행사장에 머무른 시간 역시 애초 예정보다 10분가량 긴 40여분이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0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문제있는사람이정차하면 어뗀문제가일어날지모름니다
한국에오늘뉴스에 2000 억 딸라가있다는데 풀어야지 정은이갖다주기전에
외 불경기입니까 촛불한번더들어야되는것아닙니까. 문대있어 ㅎㅎㅎ
간단한문제 포기 아니면 전쟁 밖에할수없읍니다 정은이 너도 후세인 아니면 카다피처럼죽어야된다 이북사람을조금이라도생각한다면 항복해 개xx 야 후회하지말고
지금 한국만 최악의 불경기 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