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물가상승률, 최대고용 목표 ‘상당한 추가진전’ 전제…경제 폭넓게 개선시 올해 자산매입 속도를 줄일터
▶ 다수는 몇달안에 테이퍼링, 일부는 내년초 주장…통화정책 변경시 가을 뉴욕증시 10% 조정 가능성

7월 FOMC 의사록을 보면 연준은 연내 테이퍼링을 시작하려고 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워싱턴의 연방준비제도. [로이터]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안에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시작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준이 공식적으로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을 드러낸 날이기도 하다.
양적완화 기조의 전환을 알리는 이 소식에 뉴욕증시는 크게 휘청거렸다. 연준이 18일 공개한 지난달 27∼2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참석자는 “올해 자산 매입 속도를 줄이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연준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후 매달 1,200억달러 상당의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매입하고 있다.
이러한 자산 매입 규모를 연내 줄이기 시작해야 한다는 견해에 무게가 실린 것은 테이퍼링의 전제 조건들이 이미 달성됐거나 곧 달성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연준은 평균 2%의 물가상승률과 최대 고용이라는 목표치를 향해 ‘상당한 추가 진전’이 이뤄지면 테이퍼링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다.
연준은 의사록에서 “대부분의 참석자는 물가 안정 목표와 관련해 이러한 기준이 이미 달성됐다고 언급했다”고 밝혔다. 의사록에 따르면 “대다수의 위원들은 앞은 내다봤을 때 경제가 예상대로 폭넓게 개선한다면 올해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기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나온다. 여기에서 나오는 ‘대다수(most)는’ FOMC가 이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봐도 되는 표현이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최근 몇 달간 5%를 넘나드는 등 인플레이션 우려까지 낳고 있다.
고용 문제에 대해선 “대부분의 참석자는 최대 고용을 향한 ‘상당한 추가 진전’이라는 기준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면서도 “올해 안에는 달성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지난달 FOMC 회의에서는 연내 테이퍼링 시작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작지 않았다.
다수의 참석자는 현 경제·금융 상황에 비춰볼 때 “몇 달 안에” 테이퍼링을 시작하는 것이 타당하고 판단했으나, 다른 몇몇 참석자들은 “내년 초에 시작하는 게 더 적절할 것 같다”고 언급했다고 연준은 전했다. 내년 시작을 주장한 위원들은 노동시장 회복을 위해선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좀 더 필요하다며 조기 테이퍼링에 반대했다.
이들은 “고용이 팬데믹 이전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코로나19 사태가 바꿔놓은 경제 구조의 변화를 고려할 때 대유행 이전 수준의 고용 회복을 목표로 삼는 것은 “올바른 기준이 아닐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됐다.
향후 물가 전망에 대해서도 견해가 엇갈렸다.
몇몇 위원들은 “소수의 분야에 집중된 물가 상승이 지속적인 하락 경향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만큼 기저의 물가 원동력을 바꿀 것 같지 않다”며 오히려 물가상승률이 낮아질 가능성을 우려했다. 월가에서는 통화정책이 바뀌는 과정에서는 불확실성이 커지고 조정이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이날도 의사록 공개 직후 급락하면서 증시가 1% 안팎씩 빠졌다.
일부 이견에도 연내 테이퍼링 착수 쪽으로 연준 내 다수 의견이 모였다는 의사록 발표에 관망세를 보이던 뉴욕증시는 가파른 하강 곡선을 그렸다. 이번 가을, 뉴욕증시에서 10% 내외의 조정이 예상되는 이유이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2.59포인트(1.08%) 떨어진 34,960.6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7.81포인트(1.07%) 내린 4,400.27에,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130.27포인트(0.89%) 내린 14,525.91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3대 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 마감이다. 직전까지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5거래일 연속으로 사상 최고치 기록을 동반 경신했었다.
<
박흥률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