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P-조지메이슨大 조사…추가 물가상승 요인 작용 가능성

엘에이 주유소[로이터=사진제공]
미국이 40년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가운데 미국인 3명중 2명은 내년에 인플레이션 상황이 한층 더 악화할 것으로 비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이처럼 소비자 행동이 비관적으로 돌아서며 추가적인 물가 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워싱턴포스트(WP)와 조지 메이슨대 공공행정대학원 '샤르 스쿨'이 지난 4월 21일부터 5월 12일까지 미국의 성인 1천5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6%가 '내년에도 물가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여전할 것'이라는 답변은 12%였고,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21%에 불과했다.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저가 제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질문엔 전체의 87%가 긍정 답변했다. 아니라는 답변은 12%였다.
외식과 문화생활 비용을 줄인다는 미국인도 전체의 77%에 달했고, 이전이었다면 계획했을 지출을 축소했다는 응답도 전체의 74%를 차지했다.
또 응답자의 59%는 전기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전을 줄였다는 답변도 59%에 달했다.
물가가 더 오르기 이전 사재기를 하고 있다는 답변도 절반이 넘는 52%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전체 응답자의 37%는 최근 물가 상승이 가계의 주된 금융 문제가 되고 있다고 답했고, 50%는 어느 정도 문제라고 반응했다.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답변은 13%에 불과했다.
치솟고 있는 유가 상승의 원인으로는 기업의 이윤 추구(7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69%), 조 바이든 대통령(58%), 팬데믹 이후 공급망 교란(58%) 등이 복수로 거론됐다.
미국은 40년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허덕이는 상황이다.
세계은행은 최근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1%에서 2.9%로 대폭 하향 조정하며,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을 경고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도 미 상원 청문회에서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우리는 거대한 인플레이션 압박에 직면해 있고, 물가 문제가 현시점에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 문제라는 점에 의문의 여지가 없다"며 사태의 심각성을 인정했다.
WP는 "이번 여론 조사는 향후 다가올 인플레이션의 사전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며 "더 많은 미국인이 인플레이션이 악화할 것으로 예측하고 행동을 수정함에 따라, 물가 상승을 더 부채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민주당 바이든 든든합니다.
마구올라가겠지 인건비도 올랐으니 등골을 빼먹도록 오르겠지 개스가10불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