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월 된 복서, 귀 자르는 적기는
<문> 2개월 된 복서를 기르고 있습니다. 귀를 자르려고 하는데 어느 때가 가장 좋으며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답> 생후 10-14주가 적기입니다. 수술하기 전 예방주사, 구충을 꼭 마치고 해야 합니다. 병원에서는 수술 후 귀가 꼭 난다는 보장을 해주지 않기 때문에 수술 후 집에서 위생적인 간호를 해야 합니다. 발로 수술 부위를 긁지 않도록 ‘컬러’(Colla)를 꼭 해달라고 미리 부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랙(Rack)이라는 귀 받침대를 해주는데 머리를 몹시 흔들어 떼어 버리는 경우 속히 병원으로 가셔셔 대치해줘야 합니다. 가끔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귀 뿌리 근처에 습기가 찬다든지 고약한 냄새가 나면 곧 병원에 가셔셔 새 것으로 바꿔야 합니다.
10일 후 실밥을 뽑고 1-2회 정도 귀 받침대를 계속해줘야 합니다. 귀 받침대를 떼어 버린 후 2-3일후 귀가 약간 내려가도 다시 받침대를 해줘야 합니다. 현재는 약간 S자형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8개월된 푸들 유치 아직 안빠졌는데
<문> 8개월 된 토이 푸들 강아지를 기르고 있습니다. 유치가 아직 빠지지 않아 병원에 갔더니 조금 더 기다려보고 안 빠지면 빼자고 합니다. 고견을 부탁합니다.
<답> 사람은 5세~12세 사이에 주로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로 대체하게 되는데 개와 고양이에 있어서는 생후 3개월~6개월 사이 갈게 됩니다.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면 어느 때든지 유치는 제거해야 합니다. 유치는 뽑기 전에 치열 X-레이 촬영을 한 후 발치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아직 상·하악골에 석회화가 잘 발전되지 않아 연하기 때문에 골절상이 지주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유치는 발치수술을 할 때 부러지기 아주 쉬우므로 부서진 조각이 입 몸속에 남아 있지 않도록 조심에 조심을 기울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보통 30분~60분 정도 수술시간이 필요하며 전신마취를 꼭 해야만 합니다. 아직 귀하의 애견이 불임수술을 안했다면 불임수술 할 때 동시에 부탁하면 경비를 50% 이상 줄일 수가 있습니다.
너무 늦은 것 같습니다. 곧 발치하기를 권장합니다.
고양이 면역 결핍바이러스 걸렸는데
<문>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가 면역 결핍 바이러스가 걸렸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라는 사람의 에이즈 바이러스와 똑 같은 리트로 바이러스의 하위과인 렌티 바이러스입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이 바이러스는 고양이 세포 속에서만 생존할 수 있으므로 다른 동물에 전염이 되지 않습니다.
고양이 백혈병과 병행해서 전염도 되며(1.5%정도) 증상도 백혈병과 매우 유사한 증상을 보입니다.
2개월에서부터 18년된 고양이까지 어느 때든지 발병할 수 있지만 6년생 이후에 잘 발병되며 잠복기로 넘어가는 수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로 고양이끼리 싸울 때 물어서 전염시키기 때문에 밖에 내보내지 마시고 집 안에서만 기르시면 매우 안전하겠습니다. 3종류의 진단검사 법이 있습니다만 아직까지 정확하지는 않고, 98% 이상 개량되고 있습니다.
사람의 에이즈 바이러스도 예방주사를 만들어내기 어려운 것같이 렌티 바이러스도 아직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숫 고양이에게 불임수술을 권장하는 이유 중 하나도 밖에 나가서 싸우지 않도록 하는 방편중의 일환입니다.
수의과 상담(626)919-7661
손수웅 수의사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