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 - 흔들리는 유럽경제
▶ “긴축재정” “추가 양적완화” 해법마저 갈려, 글로벌 경제에 찬물… 미 금리인상도 변화
지난 8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EU 일자리 서밋 회의에서 앤젤라 메르켈 독일 총리(왼쪽)와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이 회의를 갖고 있다.
미국과 더불어 선진국 경제의 양대 축인 유럽 경제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주요 소비시장인 유럽 경기가 주저앉을 경우, 가뜩이나 어려운 중국, 일본은 물론 나 홀로 회복세에 있는 미국 경제에마저 연쇄 타격이 불가피하다. 글로벌 경제의 최대 화두인 미국의 금리인상과 수퍼달러 기세에도 변화 조짐이 일고 있다.
■커지는 유로존 트리플딥 우려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건 유럽 경제의 버팀목인 독일 경제의 후퇴 조짐이다.
8월 산업생산이 전달보다 4.0%나 줄어들며 5년여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든 데 이어 9일(현지시간) 발표된 같은 달 수출마저도 2009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5.8%)으로 감소했다. 0.2% 성장(전기 대비)에 그친 2분기에 이어 3분기 마이너스 성장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간 빈사상태의 유럽 경제를 홀로 이끌어온 독일마저 주춤할 경우 유럽은 별다른 탈출구도 없는 상태다.
국제 통화기금(IMF)은 최근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유로존의 트리플딥(3차 경기침체ㆍ2분기 연속 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률) 가능성이 40%에 달한다”고 우려했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건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발언. 드라기 총재는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컨퍼런스에서 “유로존의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있다”며 미국식 추가 양적완화에 나설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했다.
8일 공개된 9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서 “다른 나라들의 성장세가 약할 경우 미국의 회복세도 느려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 데 이어 독일의 우울한 지표, 드라기의 고백 등이 더해지면서 각국 증시는 폭락했다.
■샌드위치 독일의 딜레마
유럽의 침체 탈출이 쉽지 않은 건 선장이 여러 명인 구조 때문이기도 하다.
강력한 긴축이든, 화끈한 돈 풀기든 화력을 집중해야 할 판에 ECB와 독일의 충돌은 늘 정책의 발목을 잡는 요소다.
ECB 최대 주주인 독일은 무작정 돈 먼저 풀기보다 유럽 국가들이 긴축, 구조조정에 우선 힘을 기울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부터 꾸준히 가능성이 제기됐던 미국식 양적완화(국채 매입) 카드 역시 독일의 반대로 번번이 미뤄지고 있다.
실제 9일 미국에선 드라기 총재가 “재정 여유가 있는 나라는 상황에 맞게 세금과 재정을 운용해야 한다”며 에둘러 독일을 겨냥하자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이 “유럽 각국 정부는 각자 상황에 맞는 구조개혁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맞받아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상황은 독일 스스로에도 딜레마가 되고 있다. 사실상 ECB의 주인인 입장에선 돈 풀기로 볼 손해가 마뜩찮지만 유로존 역내 수출 비중이 60%에 달하는 경제구조상 유럽 국가들이 침체에 허덕이는 한 자국 경제 역시 마냥 좋을 수 없기 때문이다.
■미 금리인상ㆍ수퍼달러 어디로
유럽 발 악재는 미국의 통화정책에도 브레이크를 걸고 있다. FOMC 회의록 공개 이후, 내년 봄까지 당겨졌던 시장의 기준금리 인상시기 전망은 다시 여름 이후로 늦춰지는 분위기다. 금리인상 기대감을 동력으로 삼던 달러 강세의 기세도 다시 방향을 틀어 이날 국제 외환시장에서 달러ㆍ유로 환율은 1.26달러 후반, 엔ㆍ달러는 107엔대까지 각각 물러섰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