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영국·미국 등 진행중이던 인수 계약 중단
▶ 일각서 “중국자본 러시에 막연한 거부감” 지적도
해외 기업을 무섭게 집어삼키고 있는 중국의 행보에 잇따라 제동이 걸렸다.
중국의 인수·합병(M&A) 움직임을 곱지 않은 눈으로 보던 주요국들이 진행중이던 계약을 돌연 중단하거나 인수전에 딴지를 걸기 시작했다.
호주 정부는 안보문제를 빌미로 중국 기업에 배전망을 장기 임대하는 계약을 가로막았고, 영국은 중국이 참여하는 원자력발전소 건설 사업을 계약체결 불과 하루 전에 돌연 멈춰 세웠다. 앞서 미국 정치권도 자국 반도체 업체를 인수하려는 중국의 시도에 빗장을 걸었다.
이런 주요국들은 안보 등을 고려해 어렵게 내린 결정이라고 강변했지만, 그 속내는 복잡해 보인다.
차이나머니에 대한 거부감, 자국의 일류기업이나 핵심 인프라를 중국에 넘기는데 따른 부담감, 각국내부 정치상황 등 다양한 배경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지만, 일각에선 주요국의 막연한 부정적 인식이 오히려 근시안적 판단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중국 해외투자 반년 만에 1,343억달러·영국 원전·호주 배전사업은 ‘삐걱’
중국은 지난해부터 해외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다. 글로벌컨설팅사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한 해 동안 674억달러를 해외 M&A에 쏟아부었다. 지역별로는 북미에서만 113건, 유럽에서 110건, 아시아 107건, 오세아니아 29건 등 총 382건을 체결했다. 게다가 올해 상반기에는 총 1,343억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이미 지난해 총 투자액을 넘겼다. 하지만 하반기에도 중국의 해외 투자가 활발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우선 가장 최근에는 호주 정부의 반대로 배전망 사업 지분 인수가 무산위기에 놓였다. 호주 정부는 11일안보문제를 거론하며 뉴사우스웨일스주 산하 배전망 사업체인 오스그리드의 과반 지분을 중국이 인수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현재 오스그리드 장기 임대계약을 두고 중국 국가전망공사(SGCC)와 홍콩 부호 리카싱이 이끄는 청쿵인프라그룹이 인수전을 벌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호주 재무장관은 돌연 “오스그리드는 기업과정부에 전력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장기 임대계약에 따라 중국 기업에 오스그리드 지분 50.4%를 넘기는 것은 국익에 맞지않는다고 딴지를 걸었다.
이보다 앞서 영국에서는 중국이 참여하기로 한 원전 건설사업이 돌연 연기됐다.
원래 영국 남서부에 원자력 시설을 건설하는 ‘힝클리 포인트 c’ 프로젝트는 프랑스의 전력공사(EDF)와 중국광핵그룹(CGN)으로부터 총180억파운드(약 232억달러)의 건설비를 투자받기로 했었다.
지난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영국을 방문했을 때 중국 참여가 발표됐고, 최근에는 프랑스 EDF 이사회도 사업 추진을 승인해 지난달 29일께 정식으로 계약이 체결될 전망이었다. 하지만 테리사 메이 총리가 28일 프로젝트를 다시 들여다보겠다며 계약체결을 돌연 연기했다.
이번에도 이유는 역시 안보였다.
중국 컨소시엄에 군수관련 업체인 중국핵공업집단공사(CNNC)가 투자에 참여했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내주지 않으려는 미국 정부 때문에 중국의 인수계획이 번번이 수포가 되었다. 중국 칭화유니그룹은 지난해 D램을 제작하는 마이크론 테크놀러지에 인수를 제안했다가 연방 의회의 반발에 부딪혔고, 이후 올해에는 낸드플래시 업체 샌디스크 간접 인수를 시도하다가 같은 이유로 철회한 바 있다.
▶“ 중국에 대한 막연한 편견 때문” vs“. 안보 걸린 일… 신중해야”
각국 정부의 중국 자본 거부 배경을 두고 안보문제는 핑계며 사실상 선진국의 ‘중국 혐오’ 또는 편견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과 유럽 선진국이 자국의 중요한 사업이나 상징적인 기업이 중국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자존심이 상하는 일로 보기 때문이다.
독일에서는 중국 가전업체 메이디가 로봇업체 쿠카를 인수하겠다고 밝혔을 때 정치인들이 나서서 차라리 다른 유럽 국가가 쿠카를 인수해 달라고 요청했다.
스위스에서는 중국 국유기업인 중국화공이 스위스의 유명 농업생물 공학기업인 신젠타를 사들이겠다고 밝히자 중국 기업문화를 운운하며 부정적인 반응을 내놓았다. 현지 매체 스위스 엥포는 중국 기업들이 M&A 이후 자국에서 하던 경영방식을 고집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며, 가부장적 경영과 위계질서 강조 등이 중국식 경영방식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번 영국의 힝클리사업 계약 연기를 두고는 빈스 케이블 전 영국 산업장관은 메이 총리가 중국 투자에 막연한 편견이 있다고 시사했다. 하지만 안보문제를의식한 결정이 잘못되지 않았다는 반박도 나온다.
영국 원전 컨소시엄에 참여한 중국광핵그룹과 이 기업 소속 기술자는 지난해 4월 미국에서 핵 기술을 빼돌린 혐의로 기소됐다. 또 중국은그간 정치·외교적 사안이 불거질때마다 경제적인 보복을 가해 왔다.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두고 일본과 감정이 상하자 희토류수출중단 조치를 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