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소 7.25% 부과 시행, 비싼 물건 온라인 구입
▶ ‘노 택스’ 장점 사라져, 주정부 향후 3개월간

1일부터 타주에 사업장을 둔 온라인 업체로부터 물건을 구매할 때 판매세가 추가돼 가주주민들은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AP]
1일부터 가주에서 타주로부터 물건을 배송받는 온라인 업체를 통해 물건을 구입할 경우 판매세(sales tax)가 부과되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밸리에 거주하는 한인 박모(46)씨의 경우 그동안 뉴욕에 본사를 둔 전자제품 전문 온라인업체 ‘B&H Photo’를 통해 랩탑 컴퓨터, 애플 아이패드, 디지털 카메라 등 값비싼 전자제품을 필요할 때마다 구입해왔는데 이날부터 ‘판매세 면제혜택’이 사라져 버려 더 이상 세금을 절약할 수 없게 됐다.
박씨는 “매 1,000달러를 지출할 때마다 최소 95달러를 절약했는데 더 이상 이 같은 혜택을 볼 수 없게 됐다. 좋은 시절은 다 지나갔다”고 한숨을 쉬었다.
가주정부 및 언론에 따르면 이날부터 가주 주민들이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물건을 구매할 때 최소 7.25%의 판매세를 부담해야 한다. 소비자는 소비자대로 온라인 샤핑의 큰 장점이 사라졌다고 불만이고, 온라인 업체는 업체대로 가격 경쟁력을 상실해 많은 소비자들을 잃게 생겼다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가주정부는 온라인 판매세는 가주내에서 연간 10만달러 이상 매출을 올리거나 200건 이상 배송이 필요한 거래를 하는 업체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된다고 밝혔다.
가주 온라인 판매세 부과는 지난 26년간 합법적으로 내지 않아도 됐던 온라인 판매세의 범위를 연방대법원이 확대했기 때문이다. 연방대법원은 온라인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 정부가 판매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지난해 6월 판결했다.
1992년 연방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지금까지 26년간 이어진 규정은 구매자가 거주하는 주내에 해당 온라인 업체의 ‘사업장’(physical presence)이 없으면 판매세를 내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위의 박씨 사례에서 보듯 그동안 가주 주민이 뉴욕에 사업장을 둔 온라인 업체로부터 물건을 사면 판매세를 내지 않아도 됐다.
LA에서 옷가게를 운영하는 한 여성은 “온라인 판매세 적용으로 온라인 샤핑을 즐기는 많은 주민들이 물건을 살 때 놀랄 것으로 생각된다”며 “이번 조치로 온라인 샤핑이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여 일부 오프라인 스토어들이 이득을 볼 것”이라고 주장했다.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는 “1일부터 적용되는 온라인 판매세 부과로 회계연도가 종료되는 오는 6월30일까지 가주정부는 2억1,900만달러를 세수를 거둬들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부터 가주내 온라인 샤퍼들이 지불해야 하는 판매세는 최소 7.25%로 주민의 사는 지역의 세율에 따라 부담해야 하는 판매세 총액은 늘어날 수 있다.
한편 이날부터 가주내 51개 시에서 판매세가 인상됐다.
LA카운티의 경우 글렌데일은 9.5%에서 10.25%, 패사디나는 9.5%에서 10.25%, 버뱅크는 9.5%에서 10.25%, 코비나는 9.5%에서 10.25%, 컬버시티는 10%에서 10.25%로 각각 올랐다.
오렌지카운티의 경우 가든그로브, 실비치, 플라센티아는 7.75%에서 8.75%, 샌타애나는 7.75%에서 9.25%로 각각 인상됐다. LA시 판매세율은 9.5%이다.
미국의 판매세는 한국의 부가가치세와 비슷하지만 징수주체가 연방정부가 아닌 주정부여서 관할지역에 따라 세율이 다르다.
<
구성훈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4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세수를 걷는것은 반대 하지 않지만 세수를 걷어 어디에 쓰는가를 우려 한다. 불체자와 노숙자 에 쓰기 위한것은 절대 반대 한다." 에 동감
아마존 월마트 등 온라인 강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판매세를 징수하고 있다. 사실을 왜곡 변조 과장하지 말라.
힘들게 번돈으로 세금을 내서 불체자나 노숙자에게 쓰이는게 아깝게 느끼시겠지만 더 많은 금액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주민들에게 쓰여질거로 생각합니다. 가끔 아프리카의 굶주린 영아들의 삶을 볼때 이 정도는 감수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도 해 봅니다.
세수를 걷는것은 반대 하지 않지만 세수를 걷어 어디에 쓰는가를 우려 한다. 불체자와 노숙자 에 쓰기 위한것은 절대 반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