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을 포함한 저소득층들이 40년만의 최악의 인플레이션으로 생존자체를 위협받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노동인력 부족으로 저소득층들의 임금도 올라갔지만 물가가 이 속도를 훨씬 앞서고 있기 때문이다.
-------------------------------------------------------------------------------------------------
워싱턴 포스트는 14일자 기사에서 세 자녀를 둔 플로리다의 한 여성이 지난 15년 동안 집을 사기 위해 다운페이먼트(Down Payment)를 저축했는데 최근 시간당 13.80달러였던 일자리를 잃은 것에 더해 인플레이션까지 겪으면서 집 사기는커녕 생존자체도 위협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여성의 경우, 한 달에 1,200달러 하던 렌트비가 1,500달러로 올라 갔는 데다가 개스 가격도 올라가 자신의 차를 채우려면 예전에 30-40달러 내던 것을 지금은 50달러 정도 내고 있다. 여기에다 소고기를 포함한 고기 값이 오른 것도 저소득층들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요즈음 저소득층들이 특히 힘든 이유는 소득의 많은 부분을 렌트비, 자동차 개스, 음식 값에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부자들은 소득의 대부분을 401(k) 등 은퇴 연금에 사용하는데 은퇴 연금의 경우에는 인플레이션을 앞서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의 충격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여기에다 부자들은 대부분 집을 갖고 있기 때문에 치솟고 있는 렌트비를 걱정할 필요 없이 고정된 모기지(Mortgage) 비용만 납부하면 된다. 그리고 돈이 부족하면 집에 쌓인 에쿼티(Equity)를 비상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방 노동부 통계청에 따르면 저소득층들은 음식비로 소득의 11%를 사용하는 반면에 부자들은 7%만 음식에 사용하고 있다.
특히 올해들어 많은 저소득층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연방정부에서 주는 월 600달러 추가 실업급여나 성인 1인당 1,400달러(미성년자에게 700달러)씩 주는 경기부양자금 등이 있었지만 이것마저 모두 없어졌기 때문이다.
예진회 봉사센터의 박춘선 대표는 “저소득층들의 경우, 치솟고 있는 집 렌트 비용, 개스 값, 음식 값 때문에 최근 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전에 방 한 칸에 500달러 했던 집 렌트 비용이 800달러에서 900달러로 오르고 개스 값마저 오르면서 일부는 자동차도 부담됐는지 팔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에 따르면 요즘에는 식료품 값이 너무 뛰어 예진회에 와서 쌀과 라면을 가져가는 한인들도 늘고 있다. 대부분이 미국에 늦게 와서 사회복지 혜택을 제대로 못 누리는 60대 이상의 한인들이라고 한다.
한편 워싱턴한인복지센터의 최대현 사회복지팀장은 “복지센터에서는 사회안전망 프로그램으로 한국일보와 함께 2016년부터 사랑나눔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면서 “연방빈곤선(Federal Poverty Level) 기준으로 250%(3인가구 기준 5만1,606달러) 미만의 가정을 대상으로 건강상의 이유 등으로 실직해서 어려움을 겪는 가정들에게 3개월간 최대 6,000달러의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120-130가구가 이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
이창열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