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함께 시 짓기에 열심인 최석봉.김선자씨 부부 <진천규 기자>
예순이 넘은 남편은 새로운 사랑을 시작했다
지켜만 보던 부인도 남편 몰래 열애에 빠졌다
23년간 하루 16시간씩
리커에서만 살았던
최석봉-김선자 부부가
시인이 된 수줍은 사연
정말 일만 하고 살았다. 새벽 5시에 일어나 아들 셋 챙겨 학교로 보내고, 그 길로 가게에 나가면 밤 12시에야 돌아왔다. 베니스비치의 리커스토어 한 곳에서만 꼬박 23년을 갇혀 지냈다. 남편은 아이들 픽업 등으로 더러 바깥 나들이를 했지만 아내는 주로 가게 카운터 뒤에서 살았다. 그새 권총 강도만 50번쯤 당했다. “처음에는 무서웠지만 나도 아들만 있는데 돈 몇 푼 땜에 그 짓을 하니 오히려 불쌍했다. 그래서 나중에는 ‘잔돈 몇 달러만 놔두고 가져가라’고 강도에게 말할 정도”로 여유가 생기고 이력도 붙었다. 아들들이 다 자리를 잡은 지난 99년 부부는 가게를 정리했다.
예순을 넘긴 남편은 그 때부터 먹고사는 일에 쏟았던 열정을 문학으로 옮겨 시 쓰기에 몰두했다. 얼마나 열심히 시에 매달렸든지 지난 7년 새 시 300편을 짓고, 시집도 3권을 냈다. 부인은 항상 남편의 첫 독자였다. 읽은 후에는 늘 작품을 꼬집었다. 남편은 “솔직히 기분이야 안 좋았지”라고 하지만 부인은 부인대로 “솔직히 그것밖에 못쓰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지금도 일만 하며 산 리커 23년을 이야기하면 눈가에 물기가 어리는 부인은 놀면서 아무 것도 안 한다는 사실이 서글펐다. 그래서 화나고 쓸쓸할 때는 남편 몰래 시를 긁적이기 시작했다. 그녀의 말대로 알게 모르게 남편에게 물이 든 것이다.
신문에서 문예지 신인상 모집기사를 읽은 그녀는 그동안 써뒀던 시를 보내 봤다. 마당발인 남편 땜에 혹시 그녀를 알아볼까 봐 성도 처녀 때 성으로 바꿔 응모했다. 그러다가 지난달 해외문학사(대표 조윤호)로부터 신인상에 당선됐다는 연락을 받았다. 노처가 글을 쓰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던 남편은 이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
바로 최석봉(69·시문학회 회장)·김선자(66)씨 부부의 이야기다.
‘가을을 업고/내게 온 사랑의 편지 한 장/일렁이는 외로움/살며시 가라앉히며…’로 시작하는 ‘가을편지’등 2편의 시가 처음 활자화된 김선자씨는 당선소감에서 ‘순수하고 소박한 소녀의 감성으로 돌아가 배우는 겸손한 자세로 글을 쓰겠다’고 다짐했다. 그녀는“생각은 좋게 하는데 막상 써 보면 안 되더라, 그냥 시답게 한 번 써보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아내를 지켜보던 남편은 “이 사람이 책은 참 좋아해요” 라고 한 마디 거든다. “이 양반은 성질이 불같은 사람인데 글을 쓰면서 많이 잔잔해 진 것 같다. 문학이 좋은 일을 한 것 같다”고 아내는 말한다. 손을 잡고 다정하게 포즈를 한 번 취해달라는 사진기자의 부탁에 이들은 다가서서 손을 맞잡았지만 상당히 어색해 했다. ‘부부 시인’은 다정하게 손잡을 일이 최근에 그닥 많지 않았던 것 같다.
<안상호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