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희 하와이 한인이민연구소
길찬록(吉燦祿 1869-1954)은 평안도 안주 출신으로 1905년 6월 20일에 만 36세로 혼자 하와이에 왔다. (2014년 7월 15일에 필자가 천연희의 딸 Mary Khil Zarbaugh 에게서 아버지 길찬록의 유품을 받았는데, 그 중에 길찬록의 딸과 사위, 외손자 등에게서 온 편지가 있었다. 딸이 1941년 3월 25일에 쓴 글에 이별한지 38년이나 되었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길찬록이 하와이에 오기 2년 전에 집을 떠났음을 알 수 있다.) 천연희를 데리러 이민국에 온 길찬록은 ‘시커먼 얼굴에 술을 먹어 벌겋고, 옷은 빨지도 않은 꾸글꾸글한 것’을 입고 있었다. 천연희는 길찬록의 첫 인상을 ‘옷 꼬라지하고! 도대체 내가 얼굴을 들 수가 없었고 내 마음에 부끄러웠다. 아이고! 우리 집 머슴도 저보다는 나았는데!’ 라고 기억하였다. 길찬록은 천연희보다 27살 더 많았다. 이민국에서 나와 마차를 타고 킹 스트리트 뒤편에 있는 해동여관 (941 River Street)으로 갔다. 가와이[카우아이 섬)로 가는 탁하순과 하와이 섬으로 가는 이시남도 해동여관에 들었다. 여관방에 들어가서 통곡하고 있는데, 해동여관 주인 정윤필의 어머니가 ‘사진혼인 남편들은 다 나이가 많다’면서 위로해 주었다. 혼인을 하지 않으면 한국으로 돌려보낸다니 그것도 창피한 일이라 혼인은 해야 했지만, 길찬록이 방에 들어올까 무서워 문을 잠그고 울면서 밤을 지새웠다. 다음 날 친구들과 와이키키 구경을 하고 돌아오니 여관 주인 어머니가 다음 날 (6월 29일) 기숙사 [한인중앙학교]에서 목사가 혼인을 해 준다고 알려 주었다. 할 수 없이 다음날 길찬록과 함께 (다른 기록에는 탁하순, 이시남과 갔다고 되어있다.) 마차를 타고 이승만 씨가 운영하는 학교로 갔다. 그 곳에 있는 교회 (현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에서 홍 [홍한식] 목사가 남자 세 사람과 여자 세 사람 (천연희, 탁하순, 이시남)을 세워 놓고 혼인식을 해 주었다. 교회 아주머니들이 망사 (면사포)를 얻어다가 씌워 주었다. 탁하순과 이시남은 신랑이 사준 구두를 신었는데, 길찬록은 구두를 사주지 않아서 (못해서) 교회 아주머니가 어디서 얻어다 주었다. (후에 한 아주머니가 사 준 것임을 알게 되었다.) 천연희는 “대한복 (한복)을 입고, 구두를 신고 사랑 없는 혼인”을 억지로 하였다. 가락지는 받았는데, 나중에 박금우가 빌려준 반지였음을 알게 되었을 때 기가 막혔다.) 물론 사진은 찍지 않았다 (못했다). 다음날 배를 타고 마우이 섬 파이아농장의 캠프 원(Camp 1) 으로 갔다. 당시 농장의 주택이 모여 있는 마을을 번호로 불렀고, 마을 안에 각 나라 노동자들이 모여 사는 한인 캠프, 일본인 캠프, 폴투갈 캠프 등으로 나뉘어 있었다. 그 곳에 박금우가 살면서 한글학교에서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있었다. 다른 사람들은 결혼할 여자가 들어올 때가 되면 십장(什長) 에게 말을 하여 집을 얻어 놓는데, 길찬록이는 집도 마련해 놓지 못했기 때문에 중매자 박금우 집에서 1 주일 머물면서 대접을 잘 받았다. 그 후에는 푸우네네(Puunene)에 사는 김익서의 집으로 가서 한 달이나 머물렀다. 김익서의 부인 천 엘리사벳은 서울에서 왔는데, 같은 천씨로 천연희를 친 동생처럼 사랑해 주었고, 길찬록이 나이가 너무 많다고 동정도 해 주었다. 그 후에 키카니아 (Kikania ?)에 집이 마련되었다. ‘학생 때 남자 손 한번 잡아보지 못한 처녀로 하와이 사진 혼인 들어와서 그 깨끗한 정조를 늙은이 노동자에게 받쳤다. 그리고 아무 사랑 없는 세상을 보냈다. 그리하는 순간에 천년적 하나님이 주신 여자의 책임을 하느라고 하와이에 온지 석 달 만에 아기가 섰다.’ 먹고 싶은 과일 등 음식을 살 돈도 없었다. 남편이 ‘알콜릭 술쟁이’ (alcoholic) 로 아침에 일어나지 못하여 제대로 일을 갈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일당이 75전이었고 한 달에 20일을 일해야 $15를 벌 수 있었는데 길찬록은 그 돈을 벌어본 적이 없다. 길찬록의 농장 ‘방고’ (번호番號의 일본 발음)는 264였는데, 신용이 없어 농장 가게에서 외상으로 물건을 살 수도 없었다. 이 번호는 노동자의 이른바 ID 번호였고, 이름 대신 사용하였다. 당시 농장 상점은 현찰제가 아니고, 노동자의 번호 밑에 물건 가져간 것을 기록하였다가 월급날에 그 달의 외상을 갚는 외상제도였다. ‘꽃다운 청춘시절 부모형제 이별하고 만리타국 미국 영지 하와이에서 연애도 금전도 다 허공에 실패로’ 매일 울고 있는 천연희에게 동네 아주머니들이 음식도 갖다 주고 도와주었다. 할 수 없이 천연희는 한 번도 해 본적이 없는 노동자들의 작업복을 빨아 돈을 마련하여 임신 중에 먹고 싶은 식품들을 살 수 있었다. 처음에는 빨래를 할 줄 몰라 쩔쩔매었는데 아주머니들이 가르쳐 주었다. 한 달 동안 5명의 빨래를 계속 맡아 빨아주면 $6.50을 벌었다. 빨래뿐만 아니라, 아주머니들에게서 노동복 바지 만드는 방법을 배워 만들었고, 일본 사람의 ‘다비’도 만들어 팔았다. 마우이에서 7년을 사는 동안 큰 딸 Betty 순애(順愛, 1916년), 아들 David 은주(恩主, 1917년), 둘 째 딸 Mary 순복(順福, 1919년)을 낳았다. 제대로 농장에 나가서 일을 하지 못하는 길찬록을 대신하여 천연희가 닥치는 대로 일을 하여 생계를 꾸려나가야 했다.
<사진 위 방고 >
<계속>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