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 카운티 아파트 임대료 21% 오를때 소득은 되레 8% 줄어
▶ OC도 렌트빈민 24%
LA 카운티 주민의 27%가 아파트 렌트비를 지불하고 난 뒤 생활이 쪼달리는 극빈층으로 전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캘리포니아 하우징 파트너십 코퍼레이션’(CHPC)이 LA 카운티 주택시장 현황을 분석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이후 LA 카운티 내 아파트 렌트비는 21% 상승한데 반해 세입자들의 소득은 8% 감소했다.
LA 카운티 주민 중 빈곤층 비율은 18.2%로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소득에서 아파트 렌트비를 지불한 후 남는 액수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빈곤층 비율은 27%로 늘어난다.
비싼 렌트비가 주민들을 극빈층으로 내모는 주범이라는 지적이다. 오렌지카운티 역시 전체 주민 중 빈곤층 비율은 12.8%에 불과하지만 렌트비를 제하면 빈곤층 비율은 24.3%로 두 배 가량 상승한다.
LA 카운티에서 소득이 하위 25% 안에 드는 주민들의 경우 월 수입의 67%를 아파트 렌트비로 지출한다. 반면에 중산층 주민들의 경우 아파트 렌트비 지출이 소득의 27%에 불과하다.
일반적으로 렌트비가 소득의 30%를 넘지 않아야 ‘유지 가능’ 판정을 받는다. 저소득층·극빈층 주민들의 렌트비 지출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다 보니 식비, 교통비, 유틸리티 비용, 헬스케어 등 다른 필요한 분야에서 돈을 쓸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LA 지역에서 정상가에 아파트를 얻으려면 연 소득이 5만5,920달러 이상이어야 한다.
많은 주민들이 소득이 낮은 직업에 종사하고 있어 제대로 된 아파트를 얻기가 어렵다. 소득이 낮은 직업별 연 중간소득을 살펴보면 비서직 3만6,310달러, 메디칼 어시스턴트 3만2,080달러, 프리스쿨 교사 2만9,360달러, 차일드케어 워커 2만3,000달러, 리테일 세일즈 2만1,080달러, 캐시어 2만600달러. 웨이터·웨이트리스 1만8,920달러 등이다.
저소득층·빈곤층 주민들이 렌트비를 낼 수 있는 저렴한 아파트 또한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LA 카운티의 경우 최소한 154만유닛의 저렴한 아파트가 추가로 공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가주 전체에서는 220만가정이 66만4,000개의 저렴한 아파트 유닛을 임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친다.
설상가상으로 저소득층 아파트 건설을 위한 연방 및 가주 정부 당국의 투자도 지난 2008년 당시의 26억달러에서 8억달러로 69%나 줄어 임대 가능한 아파트를 찾는 저소득층·극빈층 주민들을 낙담하게 하고 있다. LA 카운티에서만 3만9,400명이 노숙자 신세로 전락했고 어린이 4명 중 1명은 극빈층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다.
주택시장 전문가들은 LA 카운티를 비롯한 가주 내 빈곤을 해소하기 위해 ▲주정부 주택기금 확보를 위해 주거용·상업용을 제외한 부동산 거래시 75달러의 서류 등록비를 부과하는 법안(AB1335) ▲가주 내 저소득층 주택 세금 크레딧을 연 3억달러까지 인상하는 법안(AB35) ▲가주 내 저소득층 주택 세금 크레딧 금액을 40% 인상하는 법안(SB377) 등 몇 가지 법안을 통과시키고 기존의 주정부 다세대 주택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기금을 지원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성훈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