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민당 대표 온건파서 30년 만에 총리 배출
▶ 아베·아소 등 주류 파벌에 각료 요직 배분…외무·방위상 유임
위안부·징용 등 한일 갈등 현안 관련 기존 일본 정부 입장 유지할 듯

지난달 29일 일본 도쿄도(東京都)에서 실시된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가 당선 직후 연설하고 있다. 기시다는 4일 일본 100대 총리로 선출됐다.[로이터=사진제공]
한일 위안부 합의의 당사자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가 4일 일본의 새 총리로 선출됐다. 일본은 4년 만에 총선 국면을 맞이한다.
일본 중의원과 참의원은 이날 오후 총리 지명 선거에서 과반 득표를 얻은 기시다를 제100대 총리로 선출했다.
기시다는 자민당 내 온건파인 '고치카이'(宏池會, 일명 기시다파)의 수장이다. 고치카이에서 총리가 배출된 것은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총리 재임 1991년 11월~1993년 8월) 이후 30년 만이다.
온건파인 기시다는 자민당 간부 인사에 이어 각료 인사에서도 당내 주류인 강경 보수파에 요직을 배분했다.
기시다 총리 선출 후 발표된 각료 명단을 보면 공명당 몫으로 내각에 참가한 사이토 데쓰오(齊藤鐵夫) 국토교통상을 제외한 19개 자리를 호소다(細田)파 4명, 다케시타(竹下)파 4명, 기시다파 3명, 아소(麻生)파 3명, 니카이(二階)파 2명, 무파벌 3명이 나눠 가졌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가 실질적인 수장인 호소다파와 아소 다로(麻生太郞) 자민당 부총재가 수장인 아소파,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외무상이 이끄는 다케시타파를 배려하는 모양새였다. 기시다는 사실상 차기 총리를 결정하는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호소다파와 아소파, 다케시타파 등 당내 1~3위 파벌의 지지 덕분에 당선됐다.
구체적인 인선을 보면 총리관저의 2인이자 정부 대변인 역할을 하는 관방장관은 호소다파 소속인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전 문부과학상을 앉혔다.
아베 전 총리의 측근인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문부과학상은 경제산업상으로 옮겨 재기용했다.
전후 최장 재무상을 지낸 아소의 처남인 스즈키 슌이치(鈴木俊一)를 재무상에 임명하고, 신설하는 경제안전보장상에 고바야시 다카유키(小林鷹之) 전 방위정무관을 발탁했다.
다케시타파 회장 대행인 모테기 외무상과 아베 전 총리의 동생인 기시 노부오(岸信夫) 방위상은 유임했다.
외무상과 방위상의 유임은 외교·안보 정책의 연속성을 유지하겠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다만, 기시다는 자신을 뺀 내각 구성원 20명 가운데 13명을 각료 경험이 없는 '신인'으로 채워 쇄신 이미지를 부각하고자 했다.
이는 오는 31일로 예상되는 중의원 선거를 겨냥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기시다는 오는 14일 중의원을 해산하고 31일 총선거 투개표를 하는 일정을 추진하는 것으로 방침을 굳혔다고 복수의 일본 언론이 여당 간부들을 인용해 전했다. 애초 내달 7일 또는 14일 총선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됐으나 앞당겨진 것이다.
코로나19 증가세가 진정 국면에 있고 새 내각에 대한 기대감으로 여당이 유리한 국면일 때 서둘러 유권자의 판단을 받겠다는 계산으로 보인다.
가장 최근에 총선이 실시된 것은 아베 정권 시절인 2017년 10월 22일이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전 총리는 국회를 해산하지 않아 총선이 실시되지 않았다.
4년 만에 치러지는 중의원 선거는 기시다 총리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부친인 기시다 후미타케 중의원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한 기시다는 1993년 히로시마 제1구에서 중의원에 처음 당선된 후 1차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 때인 2007년 내각부특명대신(오키나와·북방·국민생활·과학기술·규제개혁 담당상)으로 임명돼 처음 입각했다.
2012년 12월 2차 아베 정권 출범과 함께 외무상에 발탁돼 재임 중인 2015년 12월 28일에 체결된 한일 위안부 합의를 주도했다.
기시다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국이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는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그는 지난달 18일 일본기자클럽 주최 자민당 총재 후보 토론회에서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한국이) 이런 것조차 지키지 않으면 미래를 향해 무엇을 약속하더라도 미래가 열리지 않을 것"이라며 양국 간 대화가 필요하지만 그런 점에서 "볼(공)은 한국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시다는 같은 달 13일 일본외국특파원협회(FCCJ)가 연 기자회견에서도 일본이 태평양전쟁 중의 주변국 가해행위와 관련해 사과를 계속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런 발언 때문에 역사문제를 둘러싼 한일 갈등 현안에서 아베·스가 정권과는 다른 전향적인 태도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기미야 다다시(木宮正史) 도쿄대 대학원 교수도 이날 연합뉴스에 "기시다 내각에서 한일 관계가 달라질 것을 좀처럼 기대하기 어렵다"고 봤다.
다만, 온건파인 기시다가 지금은 강경파인 아베 전 총리와 아소 부총재의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나 중의원 선거에 이어 내년 7월 참의원 선거까지 승리로 이끌면 권력 기반이 강해져 자신의 정치색을 드러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는 재임 384일 만에 단명했다. 전후 총리 34명 가운데 12번째로 짧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