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들 ‘러시아 보이콧’ 가속화…우크라 장관, 쉘에 “피 냄새 안 나냐” 비난
![[우크라 침공] 틱톡·아멕스·넷플릭스, 러 시장 철수…원유수입한 쉘 ‘도마’ [우크라 침공] 틱톡·아멕스·넷플릭스, 러 시장 철수…원유수입한 쉘 ‘도마’](http://image.koreatimes.com/article/2022/03/06/20220306145337621.jpg)
영국 런던의 쉘 주유소 로고 [로이터=사진제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러시아 시장에서 발을 빼는 글로벌 기업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 와중에 러시아산 원유를 싸게 사들인 대형 석유기업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6일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중국의 동영상 소셜미디어 틱톡은 이날 성명을 내고 러시아에서의 모든 라이브 스트리밍과 신규 콘텐츠 업로드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틱톡은 이번 조치가 러시아의 '가짜뉴스 처벌법' 시행에 따른 대응 조치라고 전했다.
틱톡은 "우리의 최고 우선순위는 직원들과 사용자들의 안전"이라며 "러시아의 새 '가짜뉴스법'을 고려할 때 러시아에서의 라이브 스트리밍과 신규 콘텐츠를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주 틱톡은 유럽연합(EU) 내에서 러시아 국영매체 계정을 정지하고, 다른 나라들에서도 해당 콘텐츠에 라벨을 붙인다고 밝힌 바 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수백만 명이 전쟁의 참상을 알리기 위해 틱톡에 의존하고 있으나, 진위를 확인할 수 없는 영상도 많아 러시아 침공에 관한 가짜뉴스의 통로가 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NYT 자체 집계 결과 '#우크라이나전쟁'이라는 해시태그를 단 틱톡 게시물은 총 5억 회에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했고, 일부 인기 영상에는 100만 개에 육박하는 '좋아요'가 쏟아졌다.
다만 틱톡의 러시아 서비스 중단은 정부가 아닌 일반 러시아인들이 올리는 현장의 생생한 정보 확산을 막는 부작용도 있다고 신문은 우려했다.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업체 넷플릭스도 이날 러시아 영업을 폐쇄한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에서 신규 고객이 넷플릭스에 가입할 수 없게 되지만, 기존 고객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넷플릭스는 러시아에서 진행하던 4편의 오리지널 시리즈 제작을 모두 무기한 보류한 데 이어 제재 수위를 더 끌어올린 셈이 됐다.
카드·결제업체들의 '러시아 보이콧'도 확대되고 있다.
비자, 마스터카드에 이어 아메리칸익스프레스(아멕스)는 이날 성명을 내고 해외 발급 아멕스 카드를 앞으로 러시아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러시아에서 발급된 아멕스 카드의 국외 사용도 금지된다.
아울러 러시아의 침공을 돕는 벨라루스에 대해서도 같은 조치를 적용한다고 아멕스는 밝혔다.
이 회사는 성명에서 "이번 결정은 미국과 국제사회의 제재 대상이 된 러시아 은행들과 관계를 단절한 것에 이은 후속 조치"라고 설명했다.
반면 거대 석유회사 쉘은 지난 4일 러시아산 우랄유 10만 미터톤을 기록적으로 싼 가격에 구매한 것으로 드러나 도마 위에 올랐다.
다른 석유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꺼리고, 영국 BP가 거액의 손실을 감수하며 러시아 국영 석유회사 로스네프트의 지분 19.75%를 매각하기로 결정한 것과 대조를 이뤘기 때문이다.
쉘은 러시아 원유 구매가 제재 위반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수익금을 우크라이나 원조단체에 기부하겠다고 밝혔으나 여론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쉘에 한 가지 묻고 싶은 게 있다"면서 "당신에게는 러시아산 원유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의 피 냄새가 나지 않는가"라고 저격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