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받는 교육부의 ‘3不 정책’
▲ 3不중 1,2개 재고를
- 정운찬 서울대 총장 대학 자율권 더 줘야
서울대 정운찬 총장이 교육인적자원부가 현행 대학입시에서 엄격히 적용되고 있는 이른바 ‘3불(不)정책(고교등급제ㆍ기여입학제·본고사 금지)’ 가운데 일부를 재고(在考)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지난 해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대학 본고사 도입과 고교간 학력격차 인정의 필요성을 주장한 바 있는 정 총장의 이날 발언은 서울대가 2008년도 입시안 발표를 앞둔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적지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정 총장은 12일 서울대 문화관에서 열린 교직원 대상 특강에서 교육부가 고수하고 있는 ‘3불 정책’ 가운데 적어도 한두 가지는 재고되어야 하며, 정부는 대학에 지금보다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장은 또 총장 선출 방식을 직접선거제에서 간접선거제로 바꾸는 내용의 교육공무원법 개정안이 최근 국회의 의원입법으로 마련된 데 대해서도 직접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정 총장은 일부 대학 총장선거가 잡음이 일자 대학 경험이 많은 국회의원의 발의로 간선제 법안이 통과됐다며 (이럴 경우) 정부의 간섭이 커질 수 밖에 없어 상당한 마찰이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정 총장은 이어 2008학년도 입시안은 아직 확정된 게 없지만 지역균형선발, 특기자 전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선발하겠다고 말했다. 정 총장은 지난 해 국정감사에서 ‘BK21(두뇌한국 21세기)자금을 받아 구조조정을 했는가’라는 질문을 받았는데, 사실 구조조정이 쉽지 않았다고 말한 뒤 연구하라고 재정지원을 한다면서 이런저런 조건을 내거는 교육부도 큰 문제라고 비판했다.
정 총장은 우리나라는 서울대와 연대 고대 등 주요 3개 대학이 신입생을 1만5,000여명이나 뽑아 학벌문제를 야기하는 등 사회통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신입생 감축을 강도높게 주문하기도했다. 그는 내부적으로는 상당한 진통이 있지만 서울대의 경우 금년에도 대학원 선발 정원을 작년보다 20% 정도 줄이겠다고 말했다.
전성철기자foryou@hk.co.kr
구조조정·학생선발 간섭 말라
- 정창영 연세대 총장
연세대 정창영 총장은 12일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학 구조조정과 학생선발 방식에 대해 정부는 간섭을 최소화하고 대학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장은 연세대 개교 120주년 기념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세계 수준의 대학이 되기 위해 가장 많이 고민하고 가장 많이 공을 들이는 것은 대학 자신이라며 정부가 지난 30~40년간 간섭하지 않고 내버려 뒀다면 지금쯤 (한국에는) 세계 수준의 대학이 5~6곳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장은 또 모든 대학에 정책을 일률적으로 적용할 게 아니라 경쟁력을 갖춘 대학은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보는 대학의 이상형은 우수한 소수 인원을 뽑아 최고의 경쟁력을 발휘하게 하는 하버드대학 등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들이지만 이는 국내 경제상황 등에 비춰 적합하지 않다며 그보다 미시간 주립대와 같이 학생수가 많고 연구도 잘하는 대학을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형영 기자 ahnhy@hk.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