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짐바브웨의 코미디언들이 무대 위에서 연기를 펼치고 있다. 국가 경제가 침체에 빠져들면서 짐바브웨에서는 정부를 비난하고 특히 92세 고령인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내용의 풍자를 담은 공연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은 이 나라에서 징역 1년형에 처해질 수 있지만 쇼는 계속되고 있다. AP>
2000년대 초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내총생산(GDP) 대폭 성장, 경제 개발 등을 경험하면서‘검은 대륙의 경제 호황’이라는 꿈이 금방이라도 실현될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최근 아프리카 경제는 중국의 성장 둔화, 원자재가격 폭락, 세계 안보위기 등 외부 경제 요인에 취약성을 드러내면서 또다시 주춤하고 있다. 과연‘기회의 땅’ 아프리카는 도약의 한계에 봉착한 것일까. 전문가들은 그러나“아프리카의 경제위기론은 과장된 것”이라며“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
■주요국가 성장률은 여전히 높아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남쪽 가장자리를 가리키는 사헬(sahel) 지대를 중심으로 한 북아프리카 국가들은 원유가 하락과 안보 불안이 가속화되면서 성장률이 하락세를 보이고 서부 아프리카 일부는 에볼라 파동의 직격탄을 맞았지만, 그 밖의 지역은 여전히 호황을 누리고 있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10~2015년 아프리카 전체 연평균 GDP 성장률은 3.3%를 기록했다. 2000~2008년(4.9%)에 비하면 가파르게 하락한 수치다. 하지만 지난해 아프리카 경제권에서 가장 가파른 경제 성장세를 나타냈던 동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2016~2017년에도 평균 6.5%를 웃도는 GDP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부티, 에티오피아, 케냐, 르완다, 탄자니아, 우간다 등이 바로 주인공이다.
특히 2015년에는 아프리카 전체가 순조로운 경제 성장을 보였다. 평균 GDP 성장률은 3.6%로, 세계 경제 평균 성장률(3.1%)을 웃돌았고 유로존 평균 성장률에 비하면 2배 이상의 실적을 냈다. 불안한 세계 경제, 원자재 가격 약세, 가뭄 같은 일부 지역의 열악한 기후 현상 등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400여개 업체가 연간 매출 10억달러를 달성했다. 특히 대기업들이 여타 지역의 대기업 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원자재 가격 반등이라는 호재만 더해진다면 2017년까지 아프리카 경제 성장률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릴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성장잠재력은 무한?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은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증가와 도시화, 디지털 혁명 등 아프리카가 대규모의 긍정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이다. 유엔 인구분과위원회에 따르면, 2015년 말 현재 아프리카 인구는 12억명으로 지난해에만 3,000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향후 연간 4,200만명 이상 증가, 2050년에는 24억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생산 가능 인구는 2034년 중국이나 인도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구조의 변화는 내수를 대폭 확대하고 산업화·도시화를 뒷받침해 미래 경제 성장을 실현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케냐, 탄자니아 등 역내 고성장 국가들은 최근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내수 및 외국인 투자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컨설팅업체 메켄지글로벌연구소(MGI)에 따르면, 아프리카 소비자·기업 지출이 이미 4조달러에 달했고, 2025년에는 5조6,000억달러(기업 3조5,000억·가정 2조1,000억)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아프리카의 성장 잠재력은 본격적으로 개발 경쟁에 뛰어든 중국과 일본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말 “3년간 600억달러를 아프리카 개발에 쓰겠다”고 했고, 이에 질세라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도 지난 8월 케냐에서 아프리카 개발회의를 열고 “향후 3년간 민관이 합쳐 3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인프라와 규제가 최대 선결 과제
다만 전문가들은 경제성장을 가로 막는 다양한 요인들을 우려하고 있다. 우선 인프라의 부족이다. 업체들은 고질적인 ‘전력 공급 부족’ 등 인프라 문제를 제조업 활동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한다. 각종 규제 또한 해외 투자자들을 망설이게 하고 있다. 2015년 아프리카 대륙에 유입된 순해외자본 규모는 전년 대비 1.8% 감소한 2,080억달러로 집계됐다.
역내 시장의 통합 또한 난제다. MGI가 발표한 ‘글로벌 연계성 지수’에는 아프리카 54개국 중 이집트와 모로코, 나이지리아, 남아공 정도가 100위 안에 들었을 뿐이다. 역내 시장의 절반 정도를 장악할 만한 대규모 시장이 없다. MGI 관계자는 “아프리카연합(AU)이 2018년부터 회원국간 입국사증 없이 왕래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 전자여권 발행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이는 유럽연합(EU)의 초기 작업과 비슷한 것으로 바람직한 변화”라고 평가했다.
역내 제조업체들이 팽창하는 내수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아프리카는 기초 식음료 및 가공품의 3분의 1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약 20%)이나 남미공동시장 메르코수르(약 10%)에 비하면 수입 의존도가 높다. 특히 주요 건축자재인 시멘트의 경우, 아프리카 전역에 원료가 풍부한데도 여전히 수요량의 15%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값싼 저급 디젤유에 오염된 대륙
한편 영국 BBC 방송은 스위스 NGO 단체 ‘공공의 눈(Public Eye)’의 보고서를 인용, “유럽 지역 일부 업체들이 매연 정도가 심각해 유럽에서는 ‘불법’으로 취급되는 저급 디젤유를 아프리카에 판매하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저급 디젤유는 주로 암스테르담, 로테르담, 안트워프 등 네덜란드 주요 항구들을 통해 아프리카로 유입되는데, 특히 암스테르담 항에는 ‘아프리카 전용 항구’가 설치돼 저급 연료 수출 산업의 허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연료 판매 업체들은 “보고서 내용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국가별 법적 테두리 안에서 연료를 판매하고 있다”고 해명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우리가 판매하는 디젤유 내 황 함유량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다”고 말했다.
문제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오염물질 기준치가 형편없다는 점이다.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들이 디젤유 내 황 함유량을 500~2,000ppm 정도로 규제하고 있으며, 소말리아, 이집트, 튀니지, 콩고 등 4개국은 무려 5,000ppm 및 그 이상까지 허용하고 있다. 50ppm 이하 규정을 도입한 국가는 케냐와 우간다, 탄자니아, 부룬디, 모로코 등 5개국에 불과했다. 유황 성분을 기관지, 폐 등 호흡기뿐 아니라 심장에도 심각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 물질로 분류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 판매 가능한 디젤유의 황 함유량은 10ppm 이하로 엄격 규정하고 있다
<
<강주형 기자·강유빈 인턴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