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KBS 조사…文, 양자 대결서 황교안·유승민·안철수 압도
▶ 안희정·황교안 ‘빅3’로 급부상…이재명 급락하고 안철수는 반등
’潘 불출마’에 황교안 급상승…범보수 후보 적합도 1위는 유승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왼쪽)과 안희정 충청남도 지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차기 대통령 후보 선호도에서 더불어민주당 유력 주자 중 한 명인 문재인 전 대표가 30% 가까운 지지율로 압도적 선두를 달리는 것으로 6일 조사됐다.
그러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불출마 선언 이후 민주당 소속 안희정 충남지사가 2위로 치고 올라오고, 보수지지층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로 빠르게 결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와 KBS가 5~6일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남녀 유권자 2천16명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2.2%p)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29.8%가 가장 선호하는 대선주자로 문 전 대표를 꼽았다.
이는 같은 당 소속인 2위 안희정 충청남도 지사(14.2%)를 배 이상 앞선 수치다.
이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1.2%로 3위에 올랐고,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민주당 소속 이재명 성남시장이 6.3%로 공동 4위를 차지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이 3.2%로 6위에 자리했고,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1.1%), 새누리당 이인제 전 최고위원과 정의당 심상정 대표(이상 0.7%), 남경필 경기도 지사(0.6%), 정운찬 전 국무총리(0.3%), 민주당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와 김부겸 의원(이상 0.2%)이 뒤를 따랐다.
문 전 대표는 지난달 1일 발표된 연합뉴스-KBS 공동조사 때보다 8.2%포인트나 상승하며 추격자들과의 차이를 더욱 벌렸다.
안 지사와 황 권한대행은 한 달 전 지지율보다 무려 3배가량 뛰어오르는 급상승세를 보이면서 군소 주자에서 문 전 대표를 추격하는 2중(2中) 주자로 일약 뛰어올랐다.
이는 이전 조사에서 문 전 대표와 양강 구도를 형성했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지난 1일 전격적으로 불출마를 선언한 데 따른 효과로 해석된다.
'반 전 총장 대신 누구를 지지할 것이냐'는 질문에 36.6%가 황 권한대행을, 10.6%가 안 지사를 선택했다. 유 의원과 안 전 대표는 각각 6.1%와 6.0%를 기록하며 문 전 대표(8.4%)보다도 낮은 비율을 보였다.
다만 유 의원도 2배 가까이 지지율이 올랐고, 범보수 후보 적합도에서는 20.5%의 지지율로 오히려 황 권한대행(15.1%)을 제치고 1위에 올라 대선구도가 바뀔 경우 상승 기대감을 엿볼 수 있게 했다.
안 전 대표 역시 지난달 조사 때까지 하락세였지만, 반 전 총장이 빠져나간 이번 조사에서는 1.7%포인트 반등했다. 그는 또 제3지대 단일후보 적합도에서 20.6%로 유 의원(14.8%)을 크게 따돌리고 선두를 차지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지난달 조사에서 11.4%의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 일약 3위로 뛰어오르며 대망을 키웠지만, 한 달 만에 지지율이 거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문재인 전 대표는 민주당 후보 적합도에서도 36.9%로 안 지사(26.2%)를 크게 앞섰다. 이 시장은 8.8%에 머물렀다.
문 전 대표는 또 가상 양자 대결에서 황 권한대행, 유 의원, 안 전 대표를 각각 모두 2배 안팎으로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 전 대표는 황 권한대행과의 가상 대결에서 52.3% 대 23.6%로, 유 의원과의 대결에서 48.6% 대 21.4%로, 안 전 대표와의 대결에서 45.2% 대 26.4%로 압승했다.
황 권한대행, 안 전 대표와의 3자 가상 대결에서도 문 전 대표는 45.0%의 지지율로, 20.5%의 황 권한대행, 15.1%의 안 전 대표를 여유 있게 눌렀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연합뉴스 자료사진]
황 권한대행 대신 유 의원을 집어넣은 3자 대결에서는 문 전 대표가 43.5%, 안 전 대표가 16.3%, 유 의원이 14.6%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번 대선의 캐스팅보트를 쥔 것으로 분석된 50대 연령층에서는 문 전 대표의 지지율이 전체 지지율보다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에서 문 전 대표는 22.2%를 얻어 2위인 안 지사(17.9%)와의 지지율 격차가 오차범위 이내인 4.3%포인트로 급격히 축소됐다. 그 뒤를 황 권한대행(14.9%), 안 전 대표(9.2%), 이 시장(5.6%), 유 의원(4.5%) 등이 따랐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도 아직 지지 후보를 정하지 않은 이른바 '부동층(浮動層)'의 비율은 24.9%를 기록, 여전히 적지 않은 수준을 보였다.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이 지난달 조사보다 7%포인트 가까이 오른 43.0%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유지했다.
새누리당은 지난달과 비슷한 12.5%로 2위에 머물렀고, 국민의당은 8.9%로 0.8%포인트 하락했다. 바른정당은 1.1%포인트 오른 7.0%로 상승세를 보였으며, 정의당은 2.9%에 그쳤다.
조사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nesdc.go.kr)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