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비영리 환경단체 EWG(Environ mental Working Group)는 잔류 농약이 많은 과일 채소 12가지와 잔류 농약이 덜 검출된 클린 리스트 15가지의 농산물을 발표했다.
잔류 농약이 많은 농산물로는 ▲딸기 ▲시금치 ▲천도복숭아(Nectarines) ▲사과 ▲복숭아 ▲배 ▲체리 ▲포도 ▲셀러리 ▲토마토 ▲피망(Sweet bell peppers) ▲감자 순이다. 딸기는 작년에 이어 여전히 1위를 차지했다.
잔류 농약이 덜 검출된 클린 농산물 리스트는 ▲옥수수 ▲아보카도 ▲파인애플 ▲양배추 ▲양파 ▲냉동 스윗 피 ▲파파야 ▲아스파라거스 ▲망고 ▲가지 ▲허니듀 멜론 ▲키위 ▲캔탈롭 ▲콜리플라워 ▲자몽 순이다.
USDA(연방 농무부)는 “농산물의 잔류 농약은 연방 환경보건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이 정한 허용치 미만”이라고 지적하고, “소비자의 건강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논평을 내놨다. EWG에서도 “과일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식단의 건강 상 장점은 농약 노출의 위험보다 훨씬 더 중요하며, 유기농이 아닌 일반적으로 재배된 농산물을 먹는 것이 먹지 않는 것보다 훨씬 건강에 좋다”고 밝혔다.
#유기농 제품을 고려해볼 만한 식재료
유기농(organic) 제품은 왠지 더 건강할 것 같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영양 전문가들도 모든 식재료를 올개닉으로 살 필요는 없다고 조언한다. 건강 정보 매체 헬스 닷컴(Health.com)에 실린 유기농으로 사야 하는 식재료에 대해 정리했다.
■육류
일리노이 의과대학 사무엘 엡스타인 교수는 “소에 투여하는 호르몬이 암 발생, 특히 유방암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연구들이 나온 바 있다. 소를 키울 때 호르몬, 항생제 등 에스트로겐 유사 제제 등이 투여돼,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과학과 환경 건강 네트워크’의 디렉터인 테드 쉐틀러 박사는 “USDA 인증 유기농 육류를 구입한다면 호르몬뿐 아니라, 항생제, 화학물질 등 섭취를 줄이는데 도움된다”고 조언했다.
■딸기
수퍼 푸드로 각광받고 있는 딸기는 이달 초 발표된 EWG 분석 자료에 따르면 딸기 샘플에서 20가지 다른 종류의 농약 성분이 검출된 바 있다.
가능하면 복숭아, 사과, 블루베리, 체리 등도 여러 종류의 농약이 사용될 수 있으며 껍질째 먹을 수도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유기농 제품을 고른다.
■우유
우유 치즈 요거트 등 유제품의 경우 유기농 인증 마크가 있는 제품은 항생제나 성장 호르몬을 투여하지 않은 젖소에서 짠 우유를 원료로 한 제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되도록 그래스 페드(grass-fed)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좋다. 그래스 페드는 풀을 먹인 소를 뜻한다.
성장호르몬 ‘rBST’는 젖소의 우유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사용되는데, 인체에서는 ‘IGF-1’이라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의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테드 쉐틀러 박사는 “IGF-1의 수치가 증가했던 사람들은 암, 특히 유방암 위험이 증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유럽과 캐나다에서는 rBGH의 사용이 금지돼있다. 물론 rBGH가 투여된 젖소의 우유를 마시면 IGF-1 수치가 높아져 우려를 유발하는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이 난 것은 아니다. 유제품을 선택할 때 성장호르몬rBST 또는rBGH이 없는 제품을 고른다.
■셀러리
EWG에 따르면 셀러리 줄기의 경우 투과성이 높아 농약이 살포되면 잔류될 가능성이 높은 채소로 나타났다. 피망, 시금치, 감자 등도 잔류 농약 검출이 높은 채소들.
<
정이온 객원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