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어, 고래 등 해양동물 멸종 위기
▶ 해양대기청 “40년만에 최고” 발표

【AP/뉴시스】시애틀의 태평양 연안에서 올 여름의 극심한 해양 폭염으로 해수온도가 상승하자 얕게 회유하는 연어들. 연어가 강으로 올라갔다가 바다로 돌아가는 지역인 발라드 락스의 새먼 베이 부근에는 40년만의 이상 고온으로 길을 잃은 연어 치어들이 위험에 처해있다고 미 어업 당국이 발표했다.
알래스카주에서 캘리포니아주에 이르는 서해안 일대의 해수온도가 올 여름 바다폭염으로 급상승해 연어, 고래, 바다사자가 서식하고 있는 이 곳 생태환경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미 국립해양대기청( NOAA )이 5일 발표했다.
현재 미국 서해안 일대에 광범위한 띠를 이루고 있는 이 뜨거운 해수는 5년전에 연어와 혹등고래 치어들이 해안으로 몰려들면서 어망에 얽혀 폐사하고 적조 등 해조류의 극성으로 게와 조개 잡이가 폐업했던 때와 비슷하다고 NOAA 소속 과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북서부 어류학 센터 소속의 크리스 하비 연구원도 "지난 번의 엄청난 피해를 생각하면, 이번 해수 상승도 비슷한 길을 가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당국의 조사에 따르면 해당 해역의 수온은 평균온도보다 이미 (화씨)5도를 넘어섰다. 지난 번 보다는 더 빨리 정상 수온으로 내려가기를 바랄 뿐이라고 NOAA 어업과는 말했다.
만약 고온상태가 길어지면 치누크 연어를 주식으로 하는 태평양 북서부의 멸종위기종 바다물범(orca)의 생존이 위태로워진다는 것이다. 게다가 연어를 기본으로 하는 먹이 사슬 전체가 붕괴되면서 바다 새 등 연어의 치어를 먹으려는 동물들이 육지에 더 가까이 몰려들게 되어 연어는 더욱 개체 수가 감소하게 된다.
지난 해에도 폭염으로 치누크 연어 떼의 회귀가 대폭 줄어들어 연구진들이 " 물방울 처럼 드문드문 돌아왔다"고 말하기도 했다.
태평양 북부의 해수온도에 대한 기록이 시작된 후 40년만의 폭염인 올해의 더위로 캘리포니아주 라호이아에 있는 NOAA 어업연구소에서는 위성 데이터를 통해서 태평양의 해양 폭염과 해수온도 상승을 관측하고 있다.
직접 원인으로는 하와이와 알래스카 사이에 저기압이 지속되면서 바람이 약해져 북태평양으로 진입하는 찬 바람과 저온 기류가 제대로 들어와 섞이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NOAA연구소의 네에선 맨투아 연구원은 말했다.
하지만 저기압의 연장 등의 근본적인 원인은 불분명하다. 현재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층 이동이 비정상적으로 혼란스러운 때문이거나, 해수 온도 상승을 부르는 인간의 기후변화에 미치는 나쁜 행동 탓이 아닐까 짐작할 뿐이다.
지난 번 2014~2015년의 폭염과 해수온도 상승 당시에도 여러 종의 어류와 해양 동물이 수난을 당했다. 남부 캘리포니아 채널 군도에서는 어미 연어들이 먹이를 찾아 수온이 낮은 곳으로 이탈하는 바람에 수많은 치어들이 육지 부근으로 길을 잃고 몰려와 죽음을 당하기도 했다.

【AP/뉴시스】 시애틀의 발라드 락스에서 연어 수족관을 관람하고 있는 형제. 9월 5일 현재 이 지역을 비롯한 미국 서해안에는 해양 폭염으로 바닷물 온도가 급상승, 해양 생태계 전체가 위험에 처했다.
한편 지난 달 15일 배포된 스위스 베른 대학의 기후과학자 토마스 프롤리허 교수팀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1982년부터 2016년 사이 해양의 폭염 발생은 거의 2배로 증가했다. 해양 폭염은 해조류 숲과 산호에 타격을 가하고 물고기 등 해양 생태계에 피해를 초래한다.
프롤리허 연구팀은 특정 지점의 바닷물 표면 온도가 그 지점의 측정 온도의 99%를 넘어서는 것을 해양 폭염으로 규정했다. 플로리허는 바닷물은 열을 흡수하는 것이나 배출하는 것 모두 대기보다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한번 해양 폭염이 발생하면 최소 수일 간 길면 수주 간 지속된다고 말했다.
스코틀랜드 해양연구소의 마이클 버로스는 "박쥐가오리나 바닷가재와 같이 바다 속을 자유롭게 헤엄쳐 움직일 수 있는 동물들은 서식지를 이동할 수 있겠지만 산호나 해조류처럼 이동이 불가능한 해양생물의 경우 더욱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2016년과 2017년 호주 동부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는 해수 온도 상승으로 절반 가량의 산호들이 폐사했으며 산호에 의존하는 다른 해양생물들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퀸즐랜드 대학의 해양생태학자 오베 회흐-굴드버그는 모든 바다 물고기의 4분의 1 가량은 산호 주변에 살고 있을 만큼 해양 생물종 다양성은 바다 밑바닥의 상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지구는 이 보수꼴통들의 고집때문에 얼마안가 멸망할것이다. 옛날 Jaws 영화를 기억하는가? 거대 상어가 출몰해서 주인공은 해변가를 close 해야한다니까 관광객들이 안와서 수입이 줄어들걸 걱정한 시의원들은 터무니없는 거짓이라며 계속해서 beach를 열었다. 덕분에 죽은 사람들이 수십명. 지금의 보수들도 경제위축을 우려해 똥고집부리고있다. 무식하게.
거대한 해조류의 떠다니는 섬이 호주의 대산호초를 향하고 있어서, 죽어가는 산호초들이 회생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는 사실은 보도 안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