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 기반 서비스 봇물…삼성 ‘디지털 콕핏’ 등 핵심 기술, 퀄컴, 커넥티드카 통신모듈 공개
▶ 샤프 ‘8K+5G 생태계’ 제시하기도, 하현회 “5G, 일상 속 파고 들것”
추적추적 내리던 겨울비가 그친 뒤 여느 때처럼 자동차로 출근하던 중 내비게이션에 ‘포트홀’ 경고가 뜬다. 익숙한 길이지만 속도를 낮춰 서행하니 앞선 차량들이 갓길에 멈춰 타이어를 갈고 있다. 5세대(5G) 통신을 기반으로 고화질지도(HD)를 실시간 최신화하면 이처럼 도로 위 돌발상황을 미리 파악해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전기차의 배터리가 얼마 남지 않으면 알아서 충전소로 안내하고 충전하는 동안에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웨이브’를 이용해 최신 영화를 스트리밍으로 감상한다.
SK텔레콤은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0’에서 5G를 이용한 모형 운전석을 통해 자동차가 더 이상 ‘탈것’이 아닌 ‘스마트 디바이스’로 탈바꿈하는 모습을 선보였다.
5G를 만난 자율주행은 더 안전하고 더 즐거웠다. 지연을 극도로 최소화하는 5G 모바일에지컴퓨팅(MEC)을 이용해 도로 상황 파악은 물론 보행자와 다른 차와 쉴 새 없이 소통하는 자율차는 기존 레이더 등의 가진 한계를 극복했고 ‘운전’할 일이 없는 차 안에서는 최신 고사양 게임과 고음질 음악감상, 초고화질 영화 감상도 가능해진다.
삼성전자가 공개한 ‘디지털 콕핏 2020’ 역시 5G 기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다. 삼성전자가 하만과 공동 개발한 5G 기반의 차량용 통신 장비 TCU 기술은 내년에 양산되는 BMW의 전기차 ‘아이넥스트(iNEXT)’에 탑재된다.
SK텔레콤과 삼성전자는 공동 개발한 ‘5G-8K TV’도 이번에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무선 환경에서도 초고화질 영상을 그대로 구현하는 TV다. 삼성전자와 레노버는 각각 5G를 활용한 태블릿PC와 노트북 신제품을 공개하며 단말도 다양화했다.
퀄컴은 기업간거래(B2B) 커넥티드카를 지원하기 위한 ‘스냅드래곤 오토모티브 4G & 5G’ 플랫폼을, 퀄컴 협력사인 큐텔은 자동차용 5G 모듈 ‘AG550Q’을 내놓았다. 퀄컴의 통신 모듈과 플랫폼이 단말과 자동차 등 모든 사물 간 소통의 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5G의 본격적인 대중화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CES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가 자동차와 전자기업이 너나없이 자율주행 등 모빌리티에 뛰어들었는데 이들 기업이 전면에 5G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모두 5G를 얘기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5G는 이번 ‘CES 2020’을 통해 모빌리티와 미디어·콘텐츠, 의료기술, 안전 관리 등 각 분야를 모든 면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인프라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한 것으로 평가된다. 불과 1년 전 열린 ‘CES 2019’에서 5G를 내세운 업체들이 초저지연성이나 초대용량·초연결 같은 5G의 장점을 알리는 데 주력했던 점을 고려하면 짧은 시간 안에 저변이 대폭 넓어지고 인식도 변화한 것이다.
<
임진혁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