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정치불안에 ‘부자 죄인시’ 싫어서…
유학송금·집구입 등 급증… 사실상 ‘재산 해외도피’
국내 준재벌급 기업 오너 2세인 A씨는 지난달 자신의 현금자산 50억원을 관리해주던 C증권사 지점에서 36억원을 인출해 미국 LA의 고급 저택을 샀다.
거액 해외 송금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미국에 유령회사(페이퍼컴퍼니)를 만들어 300만 달러를 출자한 뒤 이 법인 명의로 집을 사는 편법을 썼다.
D증권사 PB(프라이빗뱅킹)센터의 단골 고객인 B(58ㆍ개인사업)씨는 얼마 전 캐나다에 유학중인 아들 이름으로 밴쿠버에서 9억원 짜리 저택을 구입했다.
아들 3명과 부인까지 이미 밴쿠버로 이민 보낸 그는 올 여름엔 모처럼 미주지역으로 골프휴가도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 어디 마음 편히 (돈을) 쓸 수가 있어야죠. 부자를 죄다 범죄자 취급하는데 무슨 재미로 한국에서 돈을 씁니까. B씨의 항변이다.
국내 부자들의 자금이 썰물처럼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투자와 소비의 양면에서 ‘탈(脫) 한국’ 엑소더스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부동산이나 주식ㆍ채권에 넣어 두었던 돈을 회수해 해외투자에 나서는가 하면 국내에선 아예 지갑을 닫고 해외로 나가 돈을 펑펑 쓰기도 한다. 한국에선 더 이상 돈을 쓰기 싫다는 불만과 절망감이 부자들의 저변에 깔려 있는 듯 하다.
부자들이 씀씀이를 줄이면서 외환위기 때도 끄떡 없었던 강남 명품매장이 썰렁해졌고 부유층의 돈을 관리해주는 은행과 증권사 PB센터에는 부자 고객들의 거액 인출이 늘어나고 있다. D증권사 PB센터 관계자는 사상 초유의 저금리와 주식시장 침체, 거기에 정치ㆍ사회적 불안감이 작용해 자산 분산 차원에서 해외투자로 눈을 돌리는 고객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명목상 해외투자라고 하지만 사실상 ‘재산 해외도피’에 가깝다. 금융계에 따르면 일부 기업들은 홍콩 등 해외 관계회사에 높은 비율의 이익을 넘겨주는 수법으로 재산을 해외에 빼돌리기도 한다. 홍콩의 한 외국계 금융기관 관계자는 최근 50억원 이상을 맡기는 한국인들이 많다면서 한국에서 자금을 빼내는 방법을 문의해오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상당수 부유층은 자녀와 가족들을 해외로 유학 보내거나 영주권을 취득하도록 해 1인당 연간 10만달러까지 허용되는 유학생 송금 등의 방식으로 노골적으로 재산을 빼내기도 한다. 유학 및 연수 경비용 해외송금은 올들어 5월말까지 8억9000만달러(약 1조297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6억7,000만달러)보다 32.9%나 급증했다.
한국은행 집계 결과 이미 해외로 이민간 부유층이 국내 남아있는 재산을 반출한 금액도 올들어 7억달러(8,099억원)로 작년보다 27.3% 증가했다.
한국경제연구원 배상근 연구위원은 경기침체로 부자들이 국내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데다, 정부 정책에 대한 불안감과 사회 전반의 반(反)부유층 정서가 자금 해외이탈을 부추기고 있다며 국내에서 안심하고 투자ㆍ소비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호섭 기자 dream@hk.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