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금 강요·교세확장 몰두
교회 드라이브에 모두 지쳐”
한국에서 11월30일 ‘현대인의 마음을 사로잡은 가톨릭 성장’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열렸다. 한국에서 지난 10년간 가톨릭 신자가 74.4% 는 반면
개신교인은 1.6% 준 원인을 찾는 모임이었다.
목회사회학연구소와 일상과초월 주최로 열린 이날 세미나에서 박영신 실천신학대학원 석좌교수는 “교회의 성장 드라이브에 마침내 모두가 지친 것 같다”며 “교인 수와 헌금 액수, 교회당 건물의 크기 같은 세속적인 관심과 집중에서 벗어나 성스러운 교회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재영 실천신학대학원 교수와 이승훈 한림대 연구교수는 개신교에서 가톨릭으로 전향한 30∼70대 여성 14명을 면접조사 (이중 7명은 심층면접)하고, 남성 2명을 서면조사한 내용을 발표했다. 표본이 크지 않은 한계가 있지만, 주요 내용을 정리해본다.
■개신교를 떠나는 이유는?
▶감정적이다=개종자들은 개신교가 빠른 박자의 찬양을 부르며 자신의 신앙을 나타나는 데 애쓰는‘표현의 종교’라고 했다. 교회에선 설교나 가르침에 대해 깊이 숙고할 시간을 주기보다는‘덮어놓고 믿으라는 식’이라고 한다. 목사의 말에 할렐루야나 아멘을 외치게 한다. 쉬고 성찰하고 숙고할 틈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헌금 강요와 교세확장 몰두=개종한 한 여성은“교회에서 헌금 그래프를 그려놓고 헌금을 많이 내도록 강요했고, 헌금을 많이 낸 새 신자가 금세 집사가 되는 것을 보고 실망해 교회를 떠났다”고 한다. 또 주일엔 반드시 자기 교회에만 가야하고, 한 주라도 빠지면 죄인인 양 대하는 모습에 자신을 교세확장 수단으로 여기는 느낌이 들어 불쾌했다고 한다.
▶사생활이 보장되지 않는다=개종자들은 개신교회는 가족 같은 분위기라고 느낀다. 그러나 이것이 친근감을 주기도 하지만 사생활이 침범 당한다는 느낌도 주어 불편하다고 한다. 중보기도회 등에서 은밀히 나눈 기도제목조차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돼 곤혹스러울 때가 있다고 했다.
■가톨릭 성당이 끌리는 요인은?
▶성스럽다=개종자들은 성당은 엄숙하게 묵상할 수 있어 성스럽게 느껴진다고 했다. 가톨릭은 신부와 수녀들이 결혼하지 않은 독신인 데다 인사 이동을 계속해 부패가 곪아터지기 어려운 조건이라고 보았다.
▶지나친 전도가 없어 피곤하지 않다=개신교회에 대한 개종자들의 이미지는 ‘피곤하다’로 요약된다.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지나친 전도 행위와 다른 교회 교인들까지 자기 교회로 끌어들이려는 노력 때문이라는 것이다.
▶개방적이고 융통성 있다=개종자들은 가톨릭이 술과 담배에 대한 규제가 없고, 제사를 허용하며, 다른 종교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 때문에 다원주의적인 현대 사회에서 폐쇄적인 개신교에 비해 융통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호성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