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러집단 ‘IS-K’ 지목 “카불공항 타깃 위험”…G7 정상들에게도 통보
▶ “시한내 종료, 탈레반 협조에 달려”…필요시 연장 위한 비상계획 마련도 지시

조 바이든 대통령[로이터=사진제공]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 시한을 유지하기로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4일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에서 미국인과 아프간 조력자 등을 대피시키고 완전히 철군하기로 한 작업을 애초 목표대로 오는 31일 종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의 결심은 국방부의 권고를 수용한 것이다.
그는 이날 주요 7개국(G7) 정상들과의 화상 회의에서도 아프간에서의 목표 달성에 따라 임무를 예정된 시간에 끝낼 것이라고 통보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에서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의 지부를 자칭하는 IS-K의 커지는 위협을 아군에 대한 위험에 추가했다고도 설명했다.
이와 관련,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 연설에서 IS-K가 카불 공항을 타깃으로 미군과 연합군을 공격하려는 것을 매일 같이 알고 있다면서 미군이 아프간에 오래 머물수록 IS-K의 공격 위험이 심각해지고 커진다고 우려했다.
주둔 연장에 따른 테러 위협 탓에 기존 계획대로 작전을 끝내겠다는 셈이다.
AP통신과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의 결정은 카불 공항에서의 커진 안보 위협에 대한 미군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소식통들은 카불 공항에서 IS 대원들의 자살폭탄 테러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했고, 다른 관리는 그런 일이 일어나기 전에 대피하는 게 최우선이라고 전했다. 윌리엄 번스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카불로 급파해 탈레반과 벌인 막후협상이 성과가 없었던 것도 기존 방침을 고수하기로 한 이유 중 하나로 관측된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은 8월 31일 임무 종료는 대피자들의 공항 진입을 포함해 탈레반의 계속된 협조에 달려 있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필요한 경우를 대비해 국방부와 국무부에 시간표를 조정하기 위한 비상계획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런 태도는 일단 예정된 시한을 맞추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되 대피 상황이나 탈레반의 태도 등에 따라 필요할 경우 연장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도 해석된다.
AP통신에 따르면 이날 G7 회의에서 영국과 프랑스는 대피 시한 연장을 주장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반대해 시한 연장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급박한 현지 상황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이 대피 시한 연장을 시사하고 영국 등 아프간 파병 우방이 연장을 요청했음에도 결국 기존 방침을 고수한 것이다.
탈레반 측은 31일 시한을 '레드라인'으로 규정하며 경고한 상태다.
존 커비 국방부 대변인은 이번 주말까지 최대 10만 명을 추가 대피시킬 수 있다며 31일까지 아프간을 떠나길 원하는 모든 미국인의 대피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미군과 연합군은 탈레반의 카불 장악 직전인 14일부터 지금까지 5만8천700명을 대피시켰다. 지난달 말 기준 대피 인원은 6만3천900명이다.
초기에 지지부진했던 공수 작전은 지난 22일부터 목표치를 웃돌면서 가속이 붙기 시작해 직전 24시간 동안에는 2만1천600명이 아프간을 탈출했다.
커비 대변인은 지금까지 4천여 명의 미 시민이 아프간을 탈출했다고 밝혔다. 미 언론은 아프간에서 대피해야 할 미국인 수를 1만∼1만5천 명 선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커비 대변인이 미국인을 대피시킬 시간은 충분하다고 했지만, 위험에 처한 아프간인들이 모두 대피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기존의 미군 철수 방침을 유지하기로 함에 따라 카불 공항 대피 작전을 위해 급파됐던 6천 명 가까운 미군도 철군에 들어가기 시작했다고 외신은 전했다.
이와 관련, 커비 대변인은 현지 미군과 장비를 카불 공항에서 빼내는 데 최소 며칠이 걸릴 것이라며 현지 지휘관들은 여전히 31일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