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스닥도 -4.08% 폭락
▶ 경기침체 우려 되살아나…‘안도랠리’ 하루만에 급락

16일 뉴욕증시에서 거래소 직원들이 주가 하락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로이터]
예상 수준의 금리인상이 이뤄진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발표 하루 만에 경기침체 우려가 급증하면서 다우존스 지수가 17개월 만에 다시 3만 선 이하로 떨어지는 등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폭락했다.
16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 지수는 전날보다 741.46포인트(2.42%) 떨어진 2만9,927.07에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지난해 1월 이후 처음으로 3만 선이 무너졌다.
S&P 500은 123.22포인트(3.25%) 내린 3,666.77, 나스닥은 453.06포인트(4.08%) 급락한 1만646.10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 2020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날 28년 만의 0.75%포인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 해소와 연준의 강력한 물가 안정 의지에 모처럼 주식을 사들였던 투자자들은 연준의 계속되는 금리인상 전망과 이로 인한 경기침체 가능성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이바바 인베스터스의 수잔 슈미트는 “투자자들은 한번에 하나에만 집중할 수 있는 것 같다. 어제 연준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해줬다”면서도 “투자자들은 이제 이대로라면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경제가 둔화할 수 있다는 기억을 되살려내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홈디포(-2.24%), 인텔)(-3.39%), JP모건(-1.72%) 등이 하락했고 아마존(-3.72%)과 애플(-3.97%) 같은 주요 기술주도 3% 넘게 하락했다. 테슬라는 -8.54%를 기록했다. 항공과 크루즈 주식도 줄줄이 떨어졌다. 라이언 디트릭 LPL 파이낸셜 수석 시장 전략가는 “연준은 연착륙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투자자들과 시장의 신뢰를 상당히 잃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유가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긴축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도 연방 재무부의 대이란 추가 제재와 리비아의 원유 생산이 크게 줄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2.27달러(1.97%) 상승한 배럴당 117.5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뉴욕=김영필 특파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