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장기화 조짐…오전 11시까지 현업복귀 통보
서울 지하철 파업 이틀째를 맞은 22일 대체인력투입 등 서울시의 비상수송대책 가동으로 출근길 지하철이 정상운행됐다.
전동차 배차간격도 평소 출근 시간대 수준인 2.5∼3분이 그대로 유지돼 시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았다.
그러나 지하철공사(1∼4호선)와 도시철도공사(5∼8호선) 노사간 교섭이 중단된상태에서 양측이 강경 대응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파업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노조측은 21일 밤 사측에 실무교섭을 요청해왔지만 사측은 먼저 파업을 중단할것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우며 교섭을 거부했다.
사측은 이와 함께 이날 오전 11시까지 파업에 참가하고 있는 노조원들에게 현업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면직 등 중징계 조치하겠다고 통보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22일 오전 0시 현재 서울 지하철 전체 노조원 9천167명 가운데파업에 파업에 참여하지 않거나 참여했다가 복귀한 인원은 3천727명으로 40.7%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시간이 갈수록 현업에 복귀하는 인원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오늘 오전 11시를 기점으로 복귀율이 눈에 띄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현재 전동차 운행은 158편으로 평소 164편의 96.3%를 보이고 있으며 운행횟수는1천523회로 평소 1천864회의 81.7%를 유지하고 있다.
지축 차량기지에는 노조원들이 밤샘 농성을 벌였으며 이날 오전 8시 30분 현재경찰 집계로 조합원 3천여명이 농성에 참가했다.
한편 양 공사측은 6개 종합일간지와 5개 무가지 등 11개 신문에 노조 파업의 부당성을 알리고 이용 시민 협조를 당부하는 신문광고를 게재했다.
특히 이 신문 광고에는 지하철공사는 4천480만원, 도시철도공사는 4천95만원 등1인당 평균 연봉과 직급별 구체적인 연봉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처럼 시와 사측이 `先 파업 철회 後 협상’ 원칙을 내세우는 등 강경 대응 입장을 보이고 있고 노조도 결사항전의 태세를 굽히지 않고 있어 파업이 조기에 종결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박창욱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