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해외 기업 ‘M&A 열풍’ 계속
▶ 막대한 자금력으로 유럽 기업 인수합병 올 들어 167% 급증
▷ 올해 해외 M&A 지난해 기록 넘어설 듯
컨설팅업체 프라이스 워터하우스 쿠퍼스(PwC)가 지난달 말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국 기업들의 해외(outbound) 기업 인수합병은36% 급증한 202억달러로 집계됐다.
이 기간에 체결된 인수 건은 전년대비 33% 증가한 77건으로 민간 기업이 M&A 건수의 6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PwC의 앤드류 리 중국 담당 자문은 “중국 정부가 해외 투자를 독려해옴에 따라 이런 M&A 증가추세는 올해도 계속돼 지난해 기록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246건의 M&A가 성사돼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며 그 가치는 모두 550억달러에 달했다.
리 자문은 민간 기업들이 기술력과 지적재산권, 유명한 브랜드를 중국으로 들여오는 것을 목표로 함에 따라 “IT와 이동통신, 소매업종이 민간기업들이 주목하는 가장 인기 있는 업종이었다"고 말했다.
PwC는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 덕분에해외 M&A의 관심은 인프라와 관련 산업으로 옮겨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중국의 M&A는 주로 미국과 유럽을 겨냥해 이뤄졌으며,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로 많은 딜이 성사됐다.
▷ 유럽투자 광폭 행보
올해 중국은 유럽에 대한 투자를 크게 늘렸다. 아시아와 북미 투자규모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올해 중국 기업들의 지분투자를 포함한 해외 기업 M&A 규모는 모두 497억달러, 291건(인수 발표 후 미체결건 포함)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유럽을 대상으로 한 M&A는 216억달러로 전년 대비 166.7% 늘었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150억달러로 22.3%증가했다. 북미 지역은 106억달러로 집계돼 7.7% 증가하는데 그쳤다.
올해 초에는 유럽 대기업에 대한 중국 기업들의 공략이 두드러졌다.
지난 3월 중국 국영 화학업체인 켐차이나(CNCC)는 매출기준 세계 5위인 이탈리아 타이어업체 피렐리의 지분 26%를 사들이기로 했다.
한 달 앞선 2월에는 중국 푸싱(復星)그룹이 프랑스의 세계적 리조트 운영 그룹인 클럽메드를 약 11억2,000만달러에 인수했다. 푸싱그룹은 이달에는 미국의 보험회사 아이언셰어의 지분 80%를 18억5,000만달러에 인수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중국 안방(安邦)보험은 독일 굴지의 부동산 업체 매입도 추진하고 있다. 안방보험은 뮌헨 소재 국영 하이포리얼 에스테이트와 부동산 대출부문 계열사인 PBB를 인수하는 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PBB의 가치는 12억유로에서 18억유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IT 업종 M&A 행보는 이제 시작
전문가들은 특히 중국 IT 업체들의 M&A 행보가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며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IT 기업 간 경쟁이 극심해짐에 따라 해외에서 새로운 기술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실탄을 쥔 기업들을 M&A 시장으로 뛰어들게 할 것으로 이들은 내다봤다.
레드텍 어드바이저스의 마이클 클렌데닌 창립자는 18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를 통해 “일부에서는 정부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투자에 나서라고 독려함에 따라 이런 흐름을 주도했다고 말하고 싶겠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의 기업들이 사업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만한 자원을 찾고 있으며 이런 기회가 세계 각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IT 기업의 대표적인 투자사례로는 지난해 말 중국의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가 차량 공유서비스 우버에 6억달러를 투자한 것과 레노버가 29억달러를 들여 모토롤라 모빌리티를 인수한 것 등이 있다.
전문가들은 IT업종을 중심으로 몰려있던 민간 기업에 대한 규제가 어느 때보다 느슨해지는 가운데 국내의 경쟁이 극심해지면서 최신의 기술력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특히 다른 업종보다 IT 기업들의 경영진이 상대적으로 젊어 글로벌 시장과 잘 어울리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해외 기업들은 중국 자본에 대해 더 수용적인 입장이라고 이들은 덧붙였다.
다만 IT 업종이 지난해 이례적으로 많은 규모의 투자에 나섬에 따라 올해는 작년만큼 활발한 M&A가 일어나지는 않을 가능성도 점쳐졌다.
▷ 中, 한국기업도 투자도 ‘잰걸음’
한국 기업들을 향한 중국 기업들의 행보도 야심차다.
지난 2월 중국 안방보험은 동양생명을 1조1,000억원에 인수하기로 하면서 중국 자본이 국내 대형 금융회사를 인수하는 첫 사례가 됐다. 지난해에는 국내 최장수 유아복 브랜드인 ‘아가방’이 중국 의류업체 랑시그룹의 한국 자회사에 320억원에 매각된바 있다.
2012년 이후 2년간 중국 기업에 팔린 한국 의류업체는 4개사에 달한다고 이트레이드 증권은 집계했다.
중국의 텐센트는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지난해 CJ E&M에 5,300억원가량을 투자했다. 텐센트는 2012년 4월에 카카오에 720억원을 투자하기도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2012년과 2013년 지분 투자를 포함한 한국 기업에 대한 중국 기업의 M&A 건수는 각각 11건(1억6,820만달러)과 8건(7,520만달러)에 그쳤다. 모두 전년 대비로 88%, 55% 감소한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그 건수는 19건으로 크게 늘었으며 그 규모도 21억달러로 급증했다.
올해 현재 M&A 및 지분 투자건수는 6건에 그치고 있으나 안방보험의 동양생명 인수로 그 규모는 벌써 20억달러에 이르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 3배 넘게 늘어난 것이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